조선기자재 관련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조선기자재는 조선업체에 부품 등의 기자재를 생산하여 공급하는 것을 말합니다. 조선소의 수주나 조선 업황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을 수 있는 관련주입니다. 10년 넘게 국내 조선 업황이 좋지 못해 조선기자재도 축소됐으나, 최근 수주량이 증가하면서 활기를 띄는 모습입니다.
현재 미중 갈등이 깊은 만큼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을 극복하기 위해서 대형 조선사와 중소형 조선사, 조선기자재 등의 관계 정립을 새로이 하고 전문화로 헤쳐나갈 계획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또한, 조선인력이 부족한 지금 부산 등에서 전문 인력 양성으로 조선산업 재도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조선기자재 관련주 ]
1. STX엔진 (077970)
2. 일승 (333430)
3. STX중공업 (071970)
4. 한국카본 (017960)
5. 케이프 (064820)
6. 동성화인텍 (033500)
7. 화인베스틸 (133820)
8. HSD엔진 (082740)
▼국내증시 이슈 테마주▼
STX엔진 (077970)
조선기자개 관련주 STX엔진은 STX에서 인적 분할하여 설립되었으며, 민수사업(선박용 엔진, 육상 발전용 엔진, 산업 엔진 등), 특수사업(방위산업용 엔진 등), 전자통신사업(해군 레이다/통신체계, 기상청 기상레이다 등)을 영위하는 업체입니다. 여러 국책과제의 수행을 통해 시장 트렌드에 맞는 친환경 제품 개발을 진행 중에 있으며, 최근 선박용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 개발 과제도 진행 중에 있습니다. 주요 매출처는 방위사업청, 한화 디펜스,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현대로템 등입니다.
STX엔진은 코스피 종목으로 시가총액은 2800억 원대이며, PER 12.64입니다. 실적은 2021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6.4% 감소, 영업이익은 98.5% 감소, 당기순손실은 2330.4% 증가했습니다. 친환경 선박법 시행으로 가스엔진, DF 엔진, 하이브리드 및 전기추진방식 등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수요가 증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일승 (333430)
조선기자재 관련주 일승은 환경장비 Total Solution Provider로서 분뇨처리장치(STP), 스크러버(Scrubber), 조수기(FWG), 연료 청정기(OP) 등 조선 환경장비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이외 LNG RU, Outfitting(의장재) 등 조선 LNG사업과 기능성 보호필름, 테프론 테이프, 수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P) 등 소재사업도 합니다. 일승은 5년간의 연구개발 끝에 해외 공급처에 의존하던 STP의 Vacuum Pump 국산화를 성공적으로 완료하였으며, 2019년 3월 특허 출원 완료했습니다.
일승은 코스닥 종목으로 시가총액은 890억 원대이며, PER는 18.90입니다. 실적은 2021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32.4% 감소, 영업이익은 71.3% 감소, 당기순이익 적자 전환했습니다. 상선용 FWG 영역에서 FWG 모델을 자체 개발하고 2020년 3월 조선소와 FWG 연간 공급계약을 체결하였으며, 국내외 영업망을 통해 제품 판매 확대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STX중공업 (071970)
조선기자개 관련주 STX중공업은 2001년 STX의 소재사업부문이 분사하여 설립된 업체이며, 엔진 기자재(선박용 디젤엔진, 발전설비, 크랭크샤프트, 실린더 라이너, 터보차저 등) 사업 영위. 13년 1월 엔진 산업설비 및 플랜트 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STX중공업은 세계 신조선 컨테이너선 선주들의 수익성 호전에 따른 재투자, 환경규제에 대비하기 위한 노후선 교체투자 수요, 세계 LNG시장의 활성화 등으로 발주량이 크게 호전되고 있습니다.
STX중공업은 코스피 종목으로 시가총액 1390억 원대이며, PER는 107.93입니다. 육상 발전설비 매출 부진으로 외형이 크게 감소하면서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모두 감소했으며, 2021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5%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손실은 1,377.7% 증가했습니다.
한국카본 (017960)
조선기자개 관련주 한국카본은 LNG 운반선용 단열패널, 탄소섬유 사업 영위하며, LNG 운송용 선박의 저장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극저온 단열재와 낚싯대/골프/스키/항공용 카본시트 등을 생산하는 업체입니다. 그밖에 바닥장식 재료인 Glass Paper 및 건축 내 외장용 절연물 등도 생산 및 납품하고 있습니다. 한국카본은 소재사업의 역량을 바탕으로, 경량화 부품·소재를 항공 및 차량 경량화용으로 집중하여, 세계 유수의 기업들과 함께 기술력을 확보해나가고 있습니다.
코스피 종목인 한국카본의 시가총액은 5160억 원대입니다. PER는 7.85이며, 현금배당수익률은 1.76%입니다. 실적은 2021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5.4% 감소, 영업이익은 53.2% 감소, 당기순이익은 51.9% 감소했으나 전 세계적으로 부품·소재의 경량화가 중시되고 있으며, 탄소섬유 등의 복합소재를 이용한 경량화 소재 시장의 성장이 가속화될 전망입니다.
케이프 (064820)
조선기자개 관련주 케이프는 대형 선박엔진의 핵심 부품인 실린더라이너 생산 업체입니다. 실린더라이너의 경우 설비의 자체 개발, 절삭가공 툴의 신규 개발 등을 통하여 가공면의 품질개선, 긴급 수요에 대응한 납기 단축 등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또한 30여 년간 실린더라이너 한 가지 제품만 생산에 매진해 오고 있으며, 그동안 축적된 생산기술과 노하우로 세계 최고의 실린더라이너 제작업체로 업계에서 인정받고 있습니다. 케이프 제품의 품질 우수성을 지속적으로 홍보하고 국내외 선사와의 협력 강화를 통하여 교체용 실린더라이너 시장 점유율을 늘려나가고 있습니다.
케이프는 코스닥 종목이고, 시가총액은 1530억 원대입니다. PER는 14.06이며, 현금배당수익률은 2.25%입니다. 실적은 2021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 감소, 영업이익은 106.2% 증가, 당기순이익은 462.4% 증가했습니다.
동성화인텍 (033500)
조선기자재 관련주 동성화인텍은 PU단열재(초저온 보냉재, PU SYSTEM) 사업과 가스사업(냉매, 방재시스템) 영위업체입니다. PU단열재 사업이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LNG 운반선 초저온 보냉재 사업과 초저온 보냉자재 일괄 생산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동성화인텍의 방재시스템 부문은 가격 시장에서 품질 시장 및 환경 친화적 시장으로 옮겨가고 있으나 경쟁업체가 증가하여 시장 경쟁 심화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환율과 원자재 변화에 따른 리스크 관리를 통해 안정적으로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동성화인텍은 코스닥 종목이고, 시가총액은 3220억 원대입니다. PER는 12.85이며, 현금배당수익률은 3.47%입니다. 실적은 2021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8% 감소, 영업이익은 22% 감소, 당기순이익은 20.4% 감소했습니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폴리우레탄 수요가 급증하면서 고급 소재의 개발과 수요처의 적극적인 영업활동 및 해외시장 수출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화인베스틸 (133820)
조선기자개 관련주 화인베스틸은 조선용 형강 및 일반 형강 생산,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업체입니다. 조선용 형강 제품(앵글 형강 등)을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으며, 조선용 형강 중에서도 인버티드 앵글(길이와 두께가 다른 앵글)은 국내에서 현대제철과 당사만 생산할 정도로 대기업 못지않은 기술력 보유하고 있습니다. 주요 매출처는 대형 조선사(현대중공업 계열, 대우조선해양), 중형조선사(STX조선해양, 한진중공업, 성동조선해양, SPP조선) 등 조선업입니다.
화인베스틸은 코스피 종목으로 시가총액은 1080억 원대입니다. 실적은 2021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3.9% 증가, 영업손실은 6.7% 감소, 당기순손실은 3.9% 증가했습니다. 화인베스틸은 앵글형강 생산량 중 생산량 비중을 계산하면 2020년 말 현재 약 13%의 앵글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풍력, 원자력 등 新수요산업이 부상함에 따라 관련 철강재 수요 확대. 풍력산업은 연평균 23%의 고성장 전망으로 관련 전기강판, 후판 등 풍력용 철강재 소비가 증가될 전망입니다.
HSD엔진 (082740)
조선기자재 관련주 HSD엔진은 기존 두산엔진이 투자사업부문을 분할함에 따라 변경 상장된 업체이며, 투자사업을 제외한 선박용 엔진 위주의 엔진 제조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선박엔진사업(대형 선박 또는 특수선의 추진용 중/저속엔진 및 선박 내 발전용 보조엔진의 공급)과 디젤발전산업(디젤 발전소 및 원자력 발전소의 비상발전용 중/저속엔진과 주변기기 공급 및 설치) 등이 주요 사업이며, 세계 2위의 저속엔진 시장점유율을 유지 중입니다. 신규사업으로 국제해사기구(IMO) 유해가스 기준에 대응할 수 있는 차세대 친환경 디젤엔진의 개발 및 고효율 선박 기자재 개발 추진 등 미래 신성장 동력의 발굴을 적극 추진 중이고, 주요 매출처로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입니다.
코스피 종목으로 HSD엔진 시가총액은 4364억 원대이며, PER는 46.09입니다. 실적은 2021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7.6%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입니다.
조선기자개 관련주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대형조선사들의 휘청거림으로 국내 조선업황이 더욱 좋지 못했던 것 같은데요. 그만큼 인력도 많이 빠져나가는 바람에 현재 수주물량이 많아져도 인력난이 예상되는 것 같습니다. 아무쪼록 선순환 구조로 대형조선사, 중형조선사, 조선기자재 모두 활황을 띄었으면 좋겠습니다. 항상 성공 투자하세요!
'국내 주식 > 테마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위산업 관련주 7종목 (0) | 2022.02.24 |
---|---|
의료기기 관련주 7종목 (0) | 2022.02.23 |
시스템반도체 관련주 8종목 (0) | 2022.02.22 |
이재명 관련주 7종목 (0) | 2022.02.21 |
키오스크 관련주 7종목 (0) | 2022.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