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주식/테마주

화장품 관련주) 씨앤씨인터내셔널, 아모레퍼시픽, 클리오

반응형

화장품 관련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팬데믹 이후 화장품 관련주들이 관심을 받지 못했는데요. 마스크로 인해 기초 화장품을 제외하고 실제로 사용량이 많이 줄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제 위드 코로나로 점차 바뀌고 있어서 리오프닝 관련주가 관심을 받는 것처럼 화장품 관련주도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화장품 관련주에도 종류가 참 다양한데요. 오늘은 최근 상승 흐름을 보였던 씨앤씨인터내셔널과 누구나 알고 있는 아모레퍼시픽, 색조화장품에서 강한 성장세를 보이는 클리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씨앤씨인터내셔널 (352480)
2. 아모레퍼시픽 (090430)
3. 클리오 (237880)

 

 

 1. 씨앤씨인터내셔널 (화장품 관련주)

 

화장품 관련주로 첫 번째는 씨앤씨인터내셔널입니다. 화장품 회사로 씨앤씨인터내셔널은 조금 생소한 느낌이 있는데요. 그래서 홈페이지에서 제품을 한번 찾아봤어요. 홈페이지로 바로 안 나오더라고요.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홈페이지 링크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반응형

씨앤씨인터내셔널 홈페이지

씨앤씨인터내셔널-화장품
씨앤씨인터내셔널-화장품

 

씨앤씨인터내셔널은 아모레퍼시픽와 클리오처럼 판매를 주력하기보다 코스맥스처럼 화장품을 제조하는 업체입니다. 2013년 10월 설립되었고, 포인트 메이크업 색조화장품의 개발,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어요. 색조 전문 ODM업체로 아모레퍼시픽, 스타일난다, 클리오 등에 제품을 납품하고 있어요. 주요 제품으로 '페리페라 올에티크 무드팔레트, 3CE 벨벳 립틴트 등이 있어요. 

 

씨앤씨인터내셔널-일봉차트
씨앤씨인터내셔널-일봉차트

 

코스닥 종목으로 시가총액 2100억원대로 중소형주입니다. 씨앤씨인터내셔널은 립스틱과 립틴트의 성공으로 제품 구성이 기존의 눈 화장용 제품 위주에서 입술 화장용 제품 위주로 변화하게 되었는데요. 이 부분이 아마도 팬데믹으로 인해 실적에 타격을 주지 않았을까 싶어요. 마스크로 눈 아랫부분은 모두 가리기 때문에 화장품으로 강조할 수 있는 부분은 눈 밖에 없으니, 아이 메이크업이나 향으로 자신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아졌다고 하더라고요. 

 

하지만, 현재 화장품 시장의 패러다임이 대기업 중심이 아닌 중소 인디 뷰티 브랜드 중심으로 변화하는 과정 속에서 마스크를 완전히 벗게 된다면 ODE업체로 수혜를 직접 볼 수 있다고 전망합니다. 아드로이트 마켓 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화장품 ODM·OEM 시장은 2021년부터 연평균 5.7% 증가해 2027년까지 804억 달러(92조 1700억 원)로 성장할 거라고 전망했습니다. 

 

 

씨앤씨인터내셔널-연간실적
씨앤씨인터내셔널-연간실적
씨앤씨인터내셔널-분기실적
씨앤씨인터내셔널-분기실적

 

화장품 관련주인 씨앤씨인터내셔널은 2021년 5월 17일에 상장을 했기 때문인지 2021년 3월 분기 실적은 나와있지 않은데요. 연간 실적을 살펴보면 매출액과 영업이익도 꾸준하게 상승했습니다. 다만, 팬데믹으로 인해 2021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4% 감소, 영업이익은 81% 감소, 당기순이익 적자 전환했습니다. 

 

 

 

 

 2. 아모레퍼시픽 (화장품 관련주)

 

두번째 화장품 관련주로는 아모레퍼시픽입니다. 화장품을 주로 사용하는 특정 사람뿐만 아니라, 대다수의 사람들이 알만한 화장품 회사입니다.  아모레퍼시픽은 국내보다 중국 투자에 더 많은 관심을 두었지만, 2016년 7월 사드 갈등 등으로 한중 관계가 악화되면서 좋은 흐름을 보여주진 못했던 종목입니다. 

 

아모레퍼시픽-화장품
아모레퍼시픽-화장품

 

아모레퍼시픽은 2006년 6월 1일에 아모레퍼시픽그룹(구 태평양)을 인적 분할하여 설립된 회사이며, 같은 해 6월 29일에 코스피에 상장했어요. 코스피 200 지수에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화장품 관련주인 아모레퍼시픽은 제조 및 판매, 생활용품의 제조 및 판매, 식품(녹차류, 건강기능식품 포함)의 제조, 가공 및 판매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아모레퍼시픽-일봉차트
아모레퍼시픽-일봉차트

 

아모레퍼시픽은 앞서 말씀드린, 사드 갈등을 시작으로 한중 갈등이 지속되는 가운데 팬데믹까지 나타나, 해외 매출액이 7%나 감소했습니다. 이는 중국 부진 때문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국내는 주요 오프라인과 면제점의 안정화 그리고 디지털의 성장세가 뒷받침해주고 있습니다. 온라인 채널은 디지털 플랫폼과의 협업 강화 및 마케팅 다변화를 통해 매출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어요. 

 

아모레퍼시픽-연간실적
아모레퍼시픽-연간실적
아모레퍼시픽-분기실적
아모레퍼시픽-분기실적

 

아모레퍼시픽은 2021년 3분기 기준 화장품 부분 시장점유율을 약 18.2%를 차지하고 있고, 매출비중의 89%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연간 실적으로 살펴보면 2020년, 2021년은 확실히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감소한 것을 볼 수 있으며, 2020년 12월 분기 실적에서 영업이익이 적자를 내기도 했네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의 증가, 판관비의 개선을 바탕으로 영업이익은 대폭 증가하면서 2021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 증가, 영업이익은 108.8% 증가, 당기순이익은 155.9% 증가했습니다. 

 

 

 

 3. 클리오 (화장품 관련주)

 

마지막 화장품 관련주는 클리오입니다. 클리오는 저도 자주 사용하는 화장품 중 하나인데요. 몇년전부터 갑자기 클리오가 눈에 띄게 확 성장하면서 로드샵이 많이 생기기도 했어요. 

 

클리오-립제품
클리오-립제품

 

클리오는 색조화장품 전문업체입니다. 화장품뿐만 아니라,  화장도구의 판매 및 유통사업 추진등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보유 브랜드는 5개로 색조 전문 브랜드인 클리오, 페리페라와 스킨케어 전문 브랜드인 구달, 헤어&바디 전문 브랜드 힐링 버드, 더마 코스메틱 전문 브랜드인 더마토리가 있습니다. 

 

클리오-일봉차트
클리오-일봉차트

 

클리오는 1997년 설립돼 2016년 11월 코스닥에 상장됐어요. 현재 시가총액은 3480억원대 입니다. 클리오는 내수가 54%로 수출이 46%로 아모레퍼시픽보다 중국 우려에 비교적 자유로운 편이기도 합니다. 클리오는 마케팅 역량을 바탕으로 색조화장품 시장에서 오랜 업력을 유지해왔으며, 최근 5년간 23.7%의 연평균 매출 성장을 달성했습니다. 현재 고가의 해외 브랜드에 뒤지지 않는 인지도와 고객 충성도 구축에 성공했습니다. 

 

클리오-연간실적
클리오-연간실적
클리오-분기실적
클리오-분기실적

 

 원가율 상승에도 불구하고 매출의 증가가 영업이익 증가로 이어지는 모습을 봉줬는데요. 2020년 실적은 전년대비 다소 부진했지만, 2021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2% 증가, 영업이익은 21.6% 증가했습니다. 앞으로 중국과 미국 지역에 대한 마케팅 투자도 늘릴 것으로 전망되는데요. 팬데믹이 사라지고 나면, 본격적인 투자와 매출이 잘 이어질지 궁금해지네요. 

 

 

 

중국 소비 관련주) 대한항공 KCC 대한유화

중국 소비 관련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삼성증권 보고서에서 따르면 중국 소비 관련주로 대한항공과 KCC, 대한유화를 추천했는데요. 통상 중국 춘절을 앞둔 시기에 소비 관련주와 경기 민

mindmoment.tistory.com

 

리오프닝 관련주) TJ미디어, 파라다이스, 참좋은여행

리오프닝 관련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금요일, 리오프닝 관련주가 강세를 보이면서 장 마감을 했는데요. 정부가 처음으로 계절 독감이라는 말을 했기 때문입니다. 확진자 수는 증가

mindmoment.tistory.com

 

 

화장품 관련주는 리오프닝 관련주와 중국 소비 관련주로도 묶을 수 있는데요. 특히 색조 화장품은 마스크를 벗기 시작하면 보복심리로 소비량이 증가할 수 있어요. 또한 자유로이 어디든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더 활발해질 수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중국 소비 관련주로 묶일 수 있는 이유는 한한령 해제로 중국 소비가 늘어나면 국내 화장품 수출이 다시 회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모든 종목은 개인 공부 목적으로 작성하오니, 참고용으로 봐주세요 :) 항상 성공 투자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