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장비 관련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반도체 시장이 가격 상승 사이클에 진입함으로써 반도체 장비 관련주에도 온기가 전해지고 있습니다. 반도체 경기 상승 및 자본 지출 증가 영향으로 대량의 주문이 반도체 장비 분야에 유입되고 이런 가운데 부품 부족 및 가격 상승 등 상황으로 반도체 장비 납기가 길어지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반도체 장비 관련주, 반도체 부품주 중에서도 주가 상승 여력이 충분한 기업이나 실적 개선 가능성이 높은 기업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글로벌 반도체 장비 선두 기업의 2021년 4분기 매출이 최근 2년 분기 매출 중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을 보였습니다. 이를 통해 반도체 장비 산업의 수요가 여전히 왕성한 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8개 글로벌 반도체 장비 기업의 2021년 4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5.9% 증가한 258.2억 달러로 추정되고, 연간 매출은 전년 대비 34% 늘어난 1,000억 달러 이상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글로벌 주요 반도체 장비 업체들은 부품 부족 상황이 2022년 하반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어 부품 업체와 반도체 장비 관련주의 장기적인 수혜가 전망됩니다.
반도체 장비 관련주 외에도 국내 증시에서 관심받고 있는 관련주들이 아래의 목차에 있으니, 궁금하신 분들은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국내 증시 이슈 테마주▼
[ 반도체 장비 관련주 ]
1. 넥스틴 (348210)
2. 와이아이케이 (232140)
3. 네오셈 (253590)
4. 엑시콘 (092870)
5. 서플러스글로벌 (140070)
6. 한미반도체 (042700)
7. 싸이맥스 (160980)
넥스틴 (348210)
반도체 장비 관련주 넥스틴은 APS그룹 계열의 반도체 전(前) 공정 패턴 결함 검사 장비 업체입니다. 반도체 소자의 회로 제작 공정에서 발생하는 미소 패턴 결함을 검출하는 웨이퍼 미소 패턴 결함 검사 장비(AEGIS-DP 등) 제조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매그나칩 반도체 등이 있으며, 세계 최대의 반도체 연구소 중 하나인 도이칠란트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 V. 를 비롯해 中 YMTC, JHICC 등 해외 반도체 회사에도 수출하고 있습니다. 넥스틴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2차원 이미징 기술에 기반한 장비를 개발하였고 이는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가진 KLA사 장비와 동등한 성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넥스틴은 코스닥 종목으로 시가총액은 5370억 원대이며, PER는 32.03배입니다. 실적은 2021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5.4% 증가, 영업이익은 36.6% 증가, 당기순이익은 60.2% 증가했습니다. 2020년을 기점으로, 국내 및 해외 메모리 소자 업체와 비메모리 소자 업체 등 다양한 판매처를 확보하여 점진적인 매출의 안정성과 성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와이아이케이 (232140)
반도체 장비 관련주 와이아이케이는 반도체 제조공정 중 EDS 테스트 공정에서 필요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검사 장비를 제작 및 판매입니다. 주요 제품으로는 메모리 웨이퍼 테스터로 삼성전자에 납품하는 MT6133이며. 반도체 제조장비 부속품도 판매하고 있습니다. 반도체용 웨이퍼 테스터는 칩의 불량 정보를 정확히 취득하고 분석하는 역할을 하며 DRAM 및 3D-NAND에 적용되는 전공정을 마친 웨이퍼를 셀 단위로 전수 검사합니다.
와이아이케이는 코스닥 종목으로 시가총액은 4348억 원대이며, PER는 20.56배입니다. 실적은 2021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2.3% 증가, 영업이익은 190.4% 증가, 당기순이익은 284.9% 증가했습니다. 전방산업이 호황이고, 삼성전자가 지분을 인수한 뒤 2021년 삼성전자와의 반도체 검사장비 공급 계약 규모가 2000억 원에 달했습니다. 이로 인해 매출액이 폭증했고, 3분기에도 삼성과 150억 상당의 공급계약을 체결하는 등 매출 증가 사항 지속 발생하고 있습니다.
네오셈 (253590)
반도체 장비 관련주 네오셈은 반도체 후공정 검사장비 업체로 메모리 반도체의 제조 공정 중 제품의 성능과 신뢰성을 검사하는 장비 사업을 주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크게 SSD(SOLID STATE DRIVE)의 성능 및 신뢰성을 검사하는 사업과 메모리 반도체에 가혹 조건을 적용하여 검사하는 MBT(MONITORING BURN-IN TESTER) 장비 사업으로 구분됩니다. 이 외 해외 기업의 ASSEMBLY MACHINE, PARTICLE DETECTOR 등에 대한 총판 사업도 하고 있습니다. 네오셈은 글로벌 SSD 검사장비 M/S 1위 기업으로 글로벌 SSD 상위 제조사에 모두 장비를 공급하고 있으며. 현재 주력제품은 4세대 SSD 검사장비이며, 5세대 SSD 검사장비의 기반기술을 이미 확보한 기술 선도 기업입니다.
네오셈은 코스닥 종목으로 시가총액은 1176억 원입니다. PER는 14.50배이며, 현금배당수익률은 0.64%입니다. 실적은 2021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4.5%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 전환했습니다. 내년 상반기 시스템 반도체 공급 부족이 해결되면서 하반기부터 다시 한번 호황 기대됩니다. 네오셈의 전체 매출 중 80%가 해외 매출로 하반기 원/달러 환율 하락에 따른 환위험이 존재할 수 있으나 향후 SSD 시장 규모 확대로 성장 전망됩니다.
엑시콘 (092870)
반도체 장비 관련주 엑시콘은 반도체 메모리 Component, Module 제품 등의 테스트를 위한 시스템의 개발, 제조 및 판매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성능 및 신뢰성 검사하는 반도체 장비 사업과 불량 원인 분석 등을 통해 설계 및 제조 공정상 수율을 개선하는 테스트 사업도 하고 있습니다. 자체 개발된 장비를 기반으로 외부 반도체 제조업체들을 대상으로 한 반도체 Test Service Biz를 운영합니다. 1월 12일 삼성전자와 33억 6400만 원 규모 반도체 검사장비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으며, 최근 매출액의 5%에 해당됩니다.
액시콘은 코스닥 종목으로 시가총액 1400억원대이입니다. PER는 11.59배이며, 현금배당수익률은 0.37%입니다. 실적은 2021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8% 감소, 영업이익은 88% 감소, 당기순이익은 236.5% 증가했습니다. 액시콘은 지속적인 신기술 개발에 집중하여 시장점유율 확대 및 매출 증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2022년까지 중국과 대만에 각각 8개, 북미 6개, 유럽 및 중동 3개, 일본과 한국에 각각 2개의 팹이 착공될 예정으로 반도체 수요 증가에 부응할 것으로 보입니다.
서플러스글로벌 (140070)
반도체 장비 관련주 서플러스글로벌은 반도체 전공정, 후공정 중고장비 매입/매각 전문업체입니다. 반도체 중고 장비 유통 글로벌 1위 업체로, 주요 거래처는 미국의 Macquari사와 반도체 장비 회사인 Applied Materials, LAM Research, 일본의 Sumitomo Mitsui Financial Leasing 등이 있습니다. 서플러스글로벌은 중고장비의 매입과 매각의 범위를 넘어서 매각 대행 서비스, 글로벌 소싱 서비스, 물류서비스 등을 제공할 뿐 아니라 장비 가동 테스트, 보상판매, Reconfiguration 제조 및 A/S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코스닥 종목으로 서플러스글로벌 시가총액은 1560억 원대입니다. PER는 13.55배이며, 현금배당수익률은 0.7%입니다. 실적은 2021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5.9% 증가, 영업이익은 48.6% 증가, 당기순이익은 45% 증가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하여 전 세계 공통적으로 ICT 기기 수요가 늘어나고 파운드리 시장의 호황이 지속되며 반도체 장비 시장의 견조한 성장이 기대됩니다. 상품 전공정 부문에서 특히 큰 매출 성장세를 보여 매출액 및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증가를 이끌었으며, 매출 구성은 상품 88.15%, 제품 5.30%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한미반도체 (042700)
반도체 장비 관련주 한미반도체는 반도체 자동화 장비의 제조 및 판매업 등의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제조용 장비를 자체적으로 개발하고 국내외 반도체 관련 제조업체에 공급 중입니다. 이 외에 레이저 장비, 태양광장비, LED 장비 등도 개발·생산. 한미네트웍스(부동산 및 투자사업), 한미 컴퍼니 등의 계열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한미반도체의 고객사의 투자가 증가하는 추이를 보이고 있으며, EMI Shield 장비 부문에서도 한미반도체의 장비가 세계 점유율 1위를 기록하며 회사 가치 성장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주력장비인 'VISION PLACEMENT'는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굳건히 지키고 있습니다.
코스피 종목으로 한미반도체 시가총액은 1조 6520억 원대입니다. PER는 34.61배이며, 현금배당수익률은 1.20%입니다. 실적은 2021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1.3% 증가, 영업이익은 65.5% 증가, 당기순이익은 86.1% 증가했습니다. 매출원가, 판관비, 인건비등 비용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이 큰 폭으로 증가하며 영업 이익을 상승시켰습니다. 글로벌 IT기업들이 5G 통신과 메타버스,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무선 이어폰, 자율주행 등 IT기기 반도체 칩과 자동차 전장화에도 EMI SHIELD 공정을 적극 도입하면서 장비 수요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싸이맥스 (160980)
반도체 장비 관련주 싸이맥스는 반도체 제조과정에 필요한 장비를 생산하는 반도체 장비(웨이퍼 이송장비) 제조업을 주력으로 영위하는 업체입니다. 주요 제품으로는 Cluster Tool System, EFEM(Equipment Front End Module), LPM(Load Port Module) 등이 있으며, 환경전문공사업체인 신도이앤씨를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싸이맥스는 제품의 선행개발, 제조공정 개선 및 품질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개발 등을 통해 차세대 장비 개발 및 원가절감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차세대 장비 개발 완료 및 출하를 시작한 가운데, 고객의 요구에 부합하는 장비 공급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코스닥 종목으로 싸이맥스의 시가총액은 1775억 원대입니다. PER는 7.69배이며, 현금배당수익률은 2.15%입니다. 실적은
2021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0.7% 증가, 영업이익은 36.3% 증가, 당기순이익은 19.3% 증가했습니다. 지속적인 연구개발 성과를 통한 신규 장비의 개발 및 고객의 요구사항에 대한 신속한 대응력을 지니고 있는 회사입니다. 부설환경기술연구소 설립, 특허 22여 건 등록, 환경부 연구과제 수행, 선진 해외 기술 도입 및 국내 접목 등을 통하여 기술개발에 많은 투자를 진행 중입니다.
반도체 장비 관련주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글로벌 1, 2위 메모리 반도체 회사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반도체 사업에 투자할수록 반도체 장비 관련주도 수혜를 볼 것으로 기대되는데요. 앞으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은 자동차 D램 반도체 등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PC용 메모리 반도체 시장만큼이나 기대되는 시장이라 앞으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시장 비중이 높아지길 기대합니다. 모든 종목은 개인 공부 목적으로 참고용으로 봐주시면 좋겠습니다. 그럼 항상 성공 투자하세요!
'국내 주식 > 테마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제역 관련주 8종목 (0) | 2022.03.02 |
---|---|
반도체 관련주 7종목 (반도체 재료 및 부품) (0) | 2022.03.01 |
전력설비 관련주 7종목 (0) | 2022.02.28 |
스마트그리드 관련주 8종목 (0) | 2022.02.28 |
인공지능 관련주 12종목 (0) | 2022.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