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관련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반도체 산업 규모가 계속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2022년 전 세계 반도체 산업 규모가 전년 대비 11% 성장한 5,651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반도체 산업 규모는 3년 연속으로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성장을 하는 것은 25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라고 합니다. 이는 팬데믹으로 인해 우리의 생활 방식이 달라진 점 때문이라고 합니다.
또한, 앞으로 반도체나 배터리, 백신 등 경제 안보와 직결된 국가전략기술 분야에 투자하는 기업은 투자액의 최대 절반까지 세금을 공제받을 수 있게 됐습니다. 기획재정부의 발표에 따르면, 반도체/배터리/백신 등 3대 분야 국가전략기술 연구개발(RD)에 투자하는 기업은 투자 비용의 최대 50%(중소기업 기준)까지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고, 기계장치나 생산 라인 등 설비투자의 경우 투자 비용의 최대 20%(중소기업 기준)까지 공제 혜택, 대기업에도 연구개발 비용의 30~40%, 설비투자 비용의 10%까지 공제 혜택이 돌아갑니다. 이와 같은 공제 혜택 속에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대기업에 반도체 집중 투자도 이뤄지고 있으니 반도체 관련주도 함께 수혜가 기대됩니다.
반도체 관련주(반도체 재료 및 부품) 외에도 국내 증시에서 이슈 되고 있는 관련주(테마주)가 아래의 목차에 있으니, 궁금하신 분들은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국내 증시 이슈 테마주 ▼
[ 반도체 관련주 ]
1. 아이원스 (114810)
2. 샘씨엔에스 (252990)
3. ISC (095340)
4. 타이거일렉 (219130)
5. 마이크로프랜드 (147760)
6. 동운아나텍 (094170)
7. 뉴파워프라즈마 (144960)
아이원스 (114810)
반도체 관련주 아이원스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LCD, OLED) 관련 초정밀 가공/세정 업체입니다. 주요 사업으로 반도체 전공정 장비에 들어가는 부품의 초정밀가공 및 세정, 디스플레이 제조장비 부품의 정밀 가공, 디스플레이 장비 제조 등이 있습니다. 아이원스는 기술을 접목한 영업활동을 통해 반도체 장비 신규/개조 개선 업무 진행 및 국내외 메인장비 업체들과 지속적인 교류 중이며, 주요 매출처는 삼성전자, LG디스플레이, 아바코입니다.
코스닥 종목으로 아이원스 시가총액은 2994억 원대이며, PER는 658.90배입니다. 주요 매출 비중은 반도체 정밀가공부품 76.3%, 정밀세정이 23.7% 구성돼 있으며, 실적은 2021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2% 증가, 영업이익은 182.7% 증가, 당기순이익은 261.4% 증가했습니다. 국내외 고객사의 수주물량 증가로 매출액 증가. 주력 제품의 제조 공정 개선으로 인한 원가 절감 효과로 수익성이 크게 높아졌습니다.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업계 회복 사이클에 맞춰 생산설비 및 라인 증설을 추진 중이며, 거래처 다변화와 수주 확대로 호실적 기대하고 있습니다.
샘씨엔에스 (252990)
반도체 관련주 샘씨엔에스는 반도체 프로브카드용 세라믹 STF(Space Transformer) 제작 업체입니다. 세라믹 STF는 웨이퍼의 전기적 성능평가를 위한 프로브카드의 핵심부품으로, MEMS Pin을 지지하고 전기적 신호를 PCB를 통해 테스트 검사 장비로 전달하여 웨이퍼의 양품 및 불량품 판정을 담당하는 테스트 장비의 핵심 부품 제조 및 판매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주요 제품은 NAND 프로브카드용 세라믹 STF, DRAM 프로브카드용 세라믹 STF, 비메모리 반도체 프로브카드용 세라믹 STF 등이 있습니다. 3016년 삼성전기의 프로브카드용 세라믹 기판 사업부를 인수하면서 샘씨엔에스로 사명을 변경하였으며 세라믹 STF 사업을 지속 확장해나가고 있습니다.
샘씨엔에스는 코스닥 종목으로 시가총액은 3195억 원이며, PER는 42.22배입니다. 실적은 2021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36.4% 증가, 영업이익은 92.7% 증가, 당기순이익은 96.3% 증가했습니다. 샘씨엔에스 고객사는 국내외 프로브카드 제조사이며 최종 사용자는 반도체 제조사이며, 반도체 제조사 기준으로 국내 공급은 45%이며 해외 공급은 55%입니다. 세라믹 STF는 웨이퍼의 전기적 성능평가를 위한 프로브카드의 핵심부품으로 반도체 장비도 고성능, 첨단화 추세에 있어 관련 시장에서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ISC (095340)
반도체 관련주 ISC는 반도체 및 전자부품 검사장비의 소모성 부품인 테스트 소켓 제품(Test Socket, Inter-poser, Cycling Socket 등)을 생산하는 업체입니다. Silicone Rubber를 기반으로 하는 반도체 IC 테스트 소켓을 국내 최초로 개발했고, 세계 최초로 양산화에 성공했습니다. 주요 매출처로 삼성전자, SK 하이닉스 등이 있으며, Socket 제조부문을 분할하여 분할 신설회사 ITMTC를 설립했습니다. ISC는 반도체 테스트 소켓 분야에서 세계 1위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코스닥 종목으로 ISC 시가총액은 5481억 원대입니다. PER는 70.72배이며, 현금배당수익률은 0.48입니다. 실적은 2021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3% 증가, 영업이익은 64.9% 증가, 당기순이익은 75.4% 증가했습니다. ISC는 메모리 반도체용 소켓 점유율이 90% 이상을 점유하고 있으며, 2020년 매출 기준 52%를 시스템반도체에서, 48%는 메모리 반도체에서 달성했습니다. 2020년 팬데믹 상황으로 반도체 수요가 증가하면서 관련 분야의 시장 규모 역시 증가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타이거일렉 (219130)
반도체 관련주 타이거일렉은 인쇄회로기판(PCB) 전문 제조업체입니다. 반도체 후공정의 검사공정에 사용되는 고다층(High-Multilayer), 고밀도(Fine Pitch)의 PCB를 주로 생산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으로는 반도체 작동 유무를 검사하는 핵심 부품인 Probe Card PCB, 반도체 device의 전기적 특성 평가용 Load Board PCB, 반도체 패키지 테스트용 Socket Board PCB, 반도체의 고온에 대한 내구성 테스트용 Burn in Board PCB 등이 있습니다. 타이거일렉은 경쟁사 대비 특허받은 반자동 리벳용 크램핑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양품 회수율을 극대화시키는 경쟁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타이거일렉은 코스닥 종목으로 시가총액은 1162억 원대이며, PER는 26.26배입니다. 실적은 2021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8.6% 증가, 영업이익은 93% 감소, 당기순이익은 70.3% 감소했습니다. 첨단기술을 요하는 군수, 자동차, 산업용 로봇, 첨단 의료기기 산업에도 PCB가 핵심부품으로써의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PCB사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외형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원가 증가로 인해 이익 감소. 반도체 산업 호황으로 수요 증가 기대됩니다.
마이크로프랜드 (147760)
반도체 관련주 마이크로프랜드는 반도체 검사용 프로브 카드 전문업체입니다. 반도체 제조공정 중 반도체 소자의 전기적 기능의 검사를 위한 테스트 공정에 소요되는 프로브 카드(Probe Card)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메모리 반도체용 프로브 카드에 특화되어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주요 매출처는 삼성전자입니다. 마이크로프랜드는 독자적인 MEMS 공정기술을 개발하여 12인치 세라믹 기판을 적용한 MEMS 공정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현재 개발하고 있는 기술은 극 초소형화 기술이므로 현재 수십 Micro 단위에 있는 피치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어 향후 시장 경쟁력 유지할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프랜드는 코스닥 종목으로 시가총액은 744억 원대로 소형주입니다. 실적은 2021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53.7% 증가, 영업이익은 322.1% 증가, 당기순이익은 438.3% 증가했습니다. 공정개선 및 생산설비 확충으로 2021년 생산능력이 전년대비 20% 증가했습니다 마이크로프랜드 고유 MEMS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정부 과제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프로브 카드 이외에 다양한 Application으로 MEMS 기술의 응용하고 있습니다.
동운아나텍 (094170)
반도체 관련주 동운아나텍은 휴대폰, 태블릿, 기타 전자기기에 들어가는 아날로그(Analog) 반도체를 회로설계, 개발 및 일괄 외주생산 상용화하여 고객사에 판매하는 팹리스(Fabless) 아날로그 반도체 업체입니다. 주력 제품은 모바일 카메라용 AF Driver IC이며, 모바일 LCD/AMOLED 전원 IC, LED 조명 Driver IC 등도 생산하고 있습니다. 생체인증 솔루션의 핵심 기술인 지문인식 알고리즘(Algorithm) 기술개발을 완료해 다양한 제품 적용을 위한 프로모션과 글로벌 메이커들과의 협력을 통해 시장 진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동운아나텍은 신규사업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을 진행 중에 있으며, 혈액보다 100배 묽은 타액에 포함된 당 수치를 측정하기 위해 향상된 당 측정 센서 기술을 확보했습니다.
코스닥 종목으로 동운아나텍 시가총액은 1338억 원대입니다. PER는 163.44배이며, 현금배당수익률은 0.24%입니다. 실적은 2021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3.5% 감소, 영업손실은 811.6% 증가, 당기순손실은 104.4% 증가했습니다. 매출 감소와 더불어 판매비와 관리비의 대폭 증가로, 영업손실 및 당기순손실이 크게 악화됐습니다.
뉴파워프라즈마 (144960)
반도체 관련주 뉴파워프라즈마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LCD, OLED, Solar 등) 박막 공정 및 식각 공정 장비에 사용되는 핵심 부품 공급 업체입니다. 주요 제품으로는 박막 공정 진행 후 공정 내 잔존하는 부산물에 대한 Plasma Cleaning를 실시하는 핵심 모듈인 Remote Plasma Generator(RPG), 박막 공정이나 건식각 공정장비의 진공 방(Vacuum Chamber)에 가스를 공급하여 Plasma를 발생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모듈인 RF Generator(RFG) 및 Matcher(MAT) 등이 있습니다. 뉴파워프라즈마는 대한민국 우주개발의 일익을 담당하여 그 기술력 또한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뉴파워프라즈마는 코스닥 종목으로 시가총액은 2587억 원대입니다. PER는 7.89배이며, 현금배당수익률은 0.84%입니다. 실적은 2021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31.9% 증가, 영업이익은 110.4% 증가, 당기순이익은 42.9% 증가했습니다.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분야에서의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장비 확대를 통해 생산성 향상 및 제품 판매 증가하고 있습니다. 방위산업의 경우, 국방예산과 관련되기 때문에 타 산업 대비 안정적인 매출을 실현하고 있으며 R&D 투자 확대를 통해 글로벌 품질 경쟁력 제고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관련주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전자기기 사용량 급증과 함께 편리함을 추구할수록 반도체 수요는 증가할 수밖에 없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앞으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를 비롯한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에서 의미 있는 자리를 차지하고 수익을 내줬으면 좋겠습니다. 모든 종목으로 개인 공부 목적으로 참고용으로 봐주시길 바랍니다. 그럼 항상 성공 투자하세요!
'국내 주식 > 테마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저터널 관련주 8종목 (0) | 2022.03.02 |
---|---|
구제역 관련주 8종목 (0) | 2022.03.02 |
반도체 장비 관련주 7종목 (0) | 2022.03.01 |
전력설비 관련주 7종목 (0) | 2022.02.28 |
스마트그리드 관련주 8종목 (0) | 2022.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