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 주식

다우존스 S&P500 나스닥 지수 특징과 지수 대표 ETF 알아보기

반응형

다우존스 S&P500 나스닥 지수 특징과 지수 ETF 알아보기

 

 

세계에서 가장 큰 증권거래소는 뉴욕 증권거래소와 나스닥이 있어요. 한국과 비교를 하자면 한국거래소(코스피)와 코스닥으로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데요. 다우존스와 S&P500 지수가 뉴욕 증권거래소에 속해요. 뉴욕 증권 거래소는 가장 오래된 주식 매매 시장으로 전통이 깊어요. 그리고 나스닥 증권거래소는 당연히 나스닥이 포함되어 있어요. 

각 지수마다 구성종목과 특징이 다른데요. 오늘은 지수와 대표 ETF까지 알아보도록 해요! 

 

 

< 목차 >

1. 다우존스 지수와 특징 (+ETF)
2. S&P500 지수와 특징 (+ETF)
3. 나스닥 지수와 특징 (+ETF)
4. 요약정리

 


1. 다우존스 지수와 특징 

 

 

쉽게 다우라고 불리지만, 정확하게는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ow Jones Industrial Average)'랍니다. 다우존스는 미국의 다우존스사의 공동 창립자인 다우가 창안을 했다고 해요. 1884년 7월 3일 처음 다우존스는가 발표됐고, 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지수로 역사가 깊어요. 

 

다우존스는 블루칩이라 불리는 우량 기업 30곳만 포함되어 있어요. 이름만 들어도 미국을 떠올릴 수 있는 기업들이 대부분 포함되어 있는데요. 하나씩 알아볼까요~

 

3M, IBM, JP모건제이스, 애플, 골드만삭스, 나이키, 다우, 마이크로소프트, 맥도날드, 머크, 버라이즌 커뮤니케이션, 보잉, 비자카드, 쉐브론, 시스코 시스템즈,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월마트, 월트 디즈니 컴퍼티, 유나이트드 헬스, 인텔, 월그린스 부츠 얼라이언스, 존슨앤드존슨, 캐터필러, 코카콜라, 트래블러스, 플록터앤갬플, 세일즈포스, 암젠, 하니월이 포함되어 있네요. 

 

뉴욕 증권거래소 모습

 

다우존스는 개별 기업의 수익률 총합을 총기업수로 나누는 방식을 사용하여 수익률 평균을 나타낸 지수인데요. 이 지수 산출 방식이 주식 가격을 기준으로 지수를 나타내기에 다소 한계가 있다고들 말해요. 대표 종목들 중 계속 상승세를 보여 가격이 높아져 주식 분할을 할 경우 주식수가 많아지면서 비중이 커지기 때문에 미국 주식 시장 전체를 나타내는 지수라고 말하기 조금 어려운 점이 있어요. 또한 30 종목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더 그렇기도 하고요. 

 

다우존스 대표 ETF는 'DIA'이고, 배당수익률은 1.58% 정도라고 해요. 지수 ETF는 보통 배당 이익률이 조금 낮은 편이긴 한데요. 지수 수익률은 그대로 따라갈 수 있고 개별 종목들의 악재나 호재가 섞이게 되니, 마음 편히 투자할 수 있는 좋은 방법 같아요. 

 


2. S&P500 지수와 특징

 

 

S&P500 지수는 국제 신용평가 기관인 미국의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가 500개의 종목을 기준으로 만든 지수예요. 뉴욕 증권거래소와 나스닥에 상장된 미국 500대 기업이 포함되어 있어요. 공업주(400 종목), 운수주(20 종목), 공공주(40 종목), 금융주(40 종목)가 포함되어 있고, 분류된 업종별 지수도 있어요. 

 

Investing.com / S&P500 상위 종목

 

 

지수를 산출하는 방식은 종목 주가에 주식수를 곱하여 시가총액을 구하고, 전체 시가총액을 기준연도인 1941~1943년의 평균 시가총액을 나눈 뉘에 10을 곱하여 시가총액을 구해요.

 

다우존스는 30종만 포함되어 있어서 한계점이 있다면, S&P500은 500 종목이 포함되어 있기에 미국 시장을 대표한다고 볼 수 있는데요. 타 지표들과 비교하는 기준 지수로도 많이 이용돼요. 예를 들면 'S&P500 지수 이익수익률이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을 초과하는 구간이 주식 투자하기 좋은 시점이다'처럼 말이에요. 

 

S&P500 지수 대표 ETF는 'SPY, IVV, VOO'로 3가지가 있어요. SPY ETF의 배당수익률은 1.21%, IVV 배당수익률은 1.24%이고 마지막 VOD 배당수익률은 1.23%입니다. 

 


3. 나스닥 지수와 특징 

 

 

미국 뉴욕 증권거래소에서 운영되는 시장괴 별도의 시장으로 나스닥이 존재해요. 처음에는 장외시장으로 분류되었지만 현재는 무섭게 성장해 장내시장으로 인정받았어요. 전미 증권협회에 등록된 주식이 매매되는 방식이고,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컴퓨터 전산망을 사용하게 있다고 해요. 

 

나스닥에는 우리가 실질적으로 투자하는 기업들도 많을 텐데요. 주변에도 애플이나 테슬라, 아마존 등 매매한 분들이 많더라고요. 나스닥에 포함된 종목은 3000개 이상이며, 대표적으로 알파벳 A(구글), 마이크로스프트, 테슬라, 애플 등이 있어요. 

 

Investing.com / 나스닥 상위 종목

 

나스닥 시가총액 산출 방식은 S&P500과 동일하게 시가총액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지수를 산출하고 있어요. 상장된 모든 종목이 나스닥 지수에 반영되기 때문에 시장 흐름을 보다 더 수월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요. 나스닥은 기술주, 성장주 중심으로 미국의 벤처기업들이 자금 조달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시스템이 잘 갖춰져 있어요. 나스닥을 따라서 만든 지수가 한국은 코스닥, 일본은 자스닥이라고 해요. 

 

나스닥은 대표 ETF는 'QQQ'로, 배당 이익률은 0.44% 정도로 다우와 S&P500 지수 ETF에 비하면 낮은 편이네요. 그래도 ETF 지수 수익률은 더 좋을 것 같아요. 

 


4. 요약정리

 

미국 뉴욕증시 3대 지수
  뉴욕 증권거래소 나스닥 증권거래소
지수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S&P500 나스닥
지수계산방식 주가평균 시가총액가중평균 시가총액가중평균
구성 종목수 30종목 (뉴욕+나스닥) 500종목 (뉴욕+나스닥) 3000종목 이상 (나스닥)
지수 특징 전통 지수 미국 대표 지수 성장주, 기술주 중심 
지수 대표 ETF DIA SPY, IVV, VOO QQ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