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관련주로는 한컴MDS, 유진로봇, 인포뱅크, 칩스앤미디어, 유니퀘스트, 아이쓰리시스템, 모트렉스, 만도 등이 있습니다. 현대차가 상반기에 서울 도심 내 자율주행차 시범운행지구에서 무인택시 '로보라이드'를 통해 레벨4 자율주행 시범서비스를 시작한다는 계획 등을 밝히면서 자율주행 관련주들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자율주행 관련주 8종목 | |
종목 | 코드 |
한컴MDS | 086960 |
유진로봇 | 056080 |
인포뱅크 | 039290 |
칩스앤미디어 | 094360 |
유니퀘스트 | 077500 |
아이쓰리시스템 | 214430 |
모트렉스 | 118990 |
만도 | 204320 |
자율주행은 5단계가 있으며, 2022년 자동차 시장에 자율주행레벨3 차량 대거 출시 예정입니다. 벤츠는 2022년 중반부터 벤츠 S클래스와 전기차 EQS 등에 레벨3을 적용 계획입니다. 또한, BMW도 차세대 7시리즈와 전기차 등에 레벨3 탑재 예정이고, 현대차도 2022년 하반기 자율주행 레벨3 기술을 처음으로 적용한 양산차를 출시 예정입니다.
단계별로 발전하고 있는 자율주행차의 개념과 자율주행 기대감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1. 자율주행차
- 자율주행차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핸들, 가속 페달 등을 제어하지 않아도 도로의 상황을 파악해 자동으로 주행하는 자동차를 의미함.
2. 자율주행 기대감
- 자율주행 기술은 레벨 1~5단계로 구분. 현재 양산차에 적용된 기술은 레벨 2로 부분 자동화 단계임.
- 자율주행기술은 부분 자율주행을 제공하는 레벨3의 상용화를 앞두고 있으며, 대부분의 상황에서 자율주행이 가능한 레벨4도 실증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
- 상시 자율주행이 가능한 레벨5가 상용화되기까지는 향후 10년 이상 소요될 것으로 관측함.
- 글로벌 자율주행차 시장 규모는 2020년 71억달러(약 7조8700억원)에서 2035년 약 1조1204억달러(약 1242조원)로 연평균 41%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국내 시장 역시 2020년 1509억원 규모에서 2035년 26조1794억원으로 연평균 40% 성장 예상됨.
자율주행 관련주와 함께 미래에 각광받을 수 있는 산업군, 테마군들을 미리 체크하세요.
국내증시 이슈 테마주
자율주행 관련주 8종목
자율주행 관련주 8종목을 기업개요, 기업실적, 편입이유 순서대로 살펴보겠습니다.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고, 자율주행 관련주를 이해하는데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한컴MDS
1) 기업개요
- 1998년 설립되었으며, 2006년 9월 26일 코스닥 시장에 주식을 상장함.
-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및 솔루션 제공업체임.
- AI, IoT, 빅데이터, 통신모듈, 로봇 등 미래 성장산업으로 대표되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솔루션의 집약체인 로봇, 공유주차 서비스를 제공하며 관련 투자를 지속하고 있음.
2) 기업실적
- 2021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3% 증가, 영업이익은 13.7% 감소, 당기순이익은 31.1% 감소함.
- 매출은 소폭 증가하고 인건비는 감소했으나 원가부담이 확대되어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모두 감소함.
- IT 융합 확산으로 자동차 및 정보기기 시장 비중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연결기업의 사업 안정성 및 고객 다변화를 위하여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음.
3) 자율주행 관련주 편입이유
- 자율주행차 검증을 위한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솔루션 개발.
유진로봇
1) 기업개요
- 1993년 12월 7일에 설립돼, 2001년 11월 13일에 코스닥 상장함.
- 청소 로봇, 교육용 로봇, 유비쿼터스 홈 로봇, 엔터테인먼트 로봇, 군사용 로봇 등 지능형 서비스 로봇을 개발, 판매하는 로봇 전문 생산업체임.
- 언택트 시대 자율주행 기술 및 지능형 서비스 로봇의 수요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그동안 축적된 노하우 및 신규 기술개발을 바탕으로 자율주행에 필요한 토털 솔루션(AMS: Autonomous Mobility Solution) 기술을 개발하고 있음.
2) 기업실적
- 2021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2% 감소, 영업손실은 44.2% 감소, 당기순손실은 53.4% 감소함.
- 매출은 감소했으나 판관비 등 각종 비용 절감으로 영업손실과 당기순손실은 감소함.
- 현재 개발 중인 라이다 센서는 실내 환경이나 사물을 3차원으로 인식하는 기술로, 빠르고 정밀하게 환경을 인지해 지도 구축 및 정밀한 측위, 초소형 장애물 인식 등이 가능함.
3) 자율주행 관련주 편입이유
- 자율주행 기술에 적용되는 2D 스캐닝 라이다 ‘YRL2 시리즈', 실내용 자율주행 기술에 적용되는 3D 스캐닝 라이다 ‘YRL3 시리즈’ 등 개발 및 생산함.
인포뱅크
1) 기업개요
- 1995년 6월 14일에 설립돼, 2006년 7월 4일에 코스닥 상장함.
-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솔루션 및 서비스 사업 영위함.
- 서비스 부문은 커넥티드 카 솔루션 구축 기술을 토대로 자율주행 이동체 관제 플랫폼 사업을 선도하고 있으며, 주요 종속회사는 서비스사업(기업용메시징서비스, 양방향미디어서비스, 스마트카 서비스 등)과 기타사업(S/W 개발 및 솔루션등) 을 진행함.
2) 기업실적
- 2021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4.7% 증가, 영업이익은 400% 증가, 당기순이익은 223.4% 증가함.
- 매출액 증가가 영업 이익 증가, 당기순이익 증가로 이어짐.
- 주력사업인 모바일 메시징 서비스의 대부분의 매출을 차지하는 기업형 문자메시지 서비스의 주요 고객은 농협정보시스템, 카카오뱅크, 네이버 등 IT 기업 및 유통 관련 기업으로 안정적인 고정거래처임.
3) 자율주행 관련주 편입이유
- 자율주행, 스마트카 관련 특허 100여 개 보유하고 있음.
칩스앤미디어
1) 기업개요
- 2003년 3월 6일에 설립돼, 2015년 8월 5일에 코스닥에 상장하.
- 비디오 분야에 특화된 반도체 IP(설계자산) 전문업체임.
- 반도체 칩 제조사에 비디오 IP를 라이선스 하고, 반도체 칩 회사는 동사의 비디오 기술 및 자체 기술을 활용하여 스마트폰이나 디지털 TV 등에 들어가는 반도체 칩을 설계, 개발 및 제조하여 납품함.
2) 기업실적
- 2021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6% 증가, 영업이익은 66% 증가, 당기순이익은 65.9% 증가함.
- 라이선스 매출과 로열티 적용 칩 개수의 큰 폭 증가로 외형 및 수익성 성장. 고객사는 1분기 29개사에서 38개사로 꾸준히 증가함.
- 낮은 해상도 영상을 고해상도 영상으로 업스케일링(Upscailing) 해주는 슈퍼 레졸루션 기능의 매출 본격화로 추후 실적 개선이 기대됨
3) 자율주행 테마주 편입이유
- 비디오 분야에 특화된 반도체 IP 생산. 인텔 자회사 모빌아이(Mobileye)에 설계 자산을 공급하면서 자율주행 칩 시장 확장 중임.
유니퀘스트
1) 기업개요
- 1995년 11월 25일에 설립돼, 2004년 8월 5일에 코스피 상장함.
- 특정 지역 및 고객사를 대상으로 전문적인 영업 및 테크니컬 마케팅 등을 전문으로 하는 반도체솔루션 공급업체임.
- 유수의 비메모리 반도체 제조사로부터 우수한 반도체를 국내 시장에 공급할 수 있는 대리점 계약을 통해 반도체를 포함한 기술지원, 교육 등 토탈솔루션사업을 영위함.
2) 기업실적
- 반도체 유통부문의 호조로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53.0% 늘었으며, 고정비용 부담 감소로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의 3배 이상으로 급증했으며, 계열사에 대한 지분법 이익도 대폭 증가함.
- 산업용 장비 부문의 경우 DDR4 메모리 테스트 장비에 들어가는 비메모리 반도체에 대한 높은 수요로 매출이 크게 증가함.
- 자회사 에이아이매틱스가 모빌리티 전용 사물인터넷 통신솔루션 전문기업 아이오티링크, 차량관제솔루션 전문기업 이트레이스를 인수함.
3) 자율주행 테마주 편입이유
- AI 기반의 자율주행 영상인식 알고리즘 연구 및 개발 업체이며, 에이아이매틱스 지분 49.92% 보유중임.
- 현대차그룹에 LDW(차선이탈경보)를 공급한 바 있으며, 알고리즘 기반 ADAS Chip 생산함.
아이쓰리시스템
1) 기업개요
- 1998년 7월 11일에 설립돼, 2015년 7월 30일에 코스닥 상장함.
- 적외선 영상센서 및 엑스레이 영상센서 전문업체임.
- 국내에서 최초로 적외선 영상센서의 개발 및 양산에 성공한 기업으로 국내 시장에서 군수분야에서 독점적 지위를 확보 중임.
2) 기업실적
- 2021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21.4% 증가, 영업이익은 48.4% 감소, 당기순이익은 6.2% 증가함.
- 선진국이 가장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국민소득이 증가하는 개발도상국에서도 시장이 점차 확대되고 있어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민수 비중확대가 중요함에 따라, 영업 전담 인력을 두고 있으며, 수출을 확대하기 위하여 해외마케팅을 강화하고 있음.
3) 자율주행 수혜주 편입이유
- 자율주행의 기술로 알려진 적외선 영상센서 제조 기술 보유하고 있음.
모트렉스
1) 기업개요
- 2001년 10월 1일에 설립돼, 2017년 8월 4일에 코스닥 상장함.
- 운전자와 차량 간의 의사소통을 위한 Automotive HMI 기술을 바탕으로 IVI(In Vehicle Infotainment) 제품을 생산하여 판매 중인 자동차 부품 업체임.
- 완성차 업체로부터 업체 선정된 후 협의된 품질 프로세스에 맞추어 개발, 생산하여 PIO 또는 DIO 방식으로 장착, 글로벌 지역에 공급하고 있으며, IVI 시스템은 Apple Car Play, Google Android Auto 등 스마트폰과 디스플레이를 양방향 연결하는 커넥티비티 기술 등을 공식 인증 획득하여 적용한 최첨단 제품을 생산 중임.
2) 기업실적
- 2021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8.3% 증가, 영업이익은 521.5%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 전환함.
- 팬데믹 상황에서 높아진 개인위생에 대한 고객 니즈에 대응하기 위해 공기청정기에 UVC 살균 바이러스 박멸 기능을 보강, 인도시장에서 확인된 제품 품질과 소비자 반응을 통해 글로벌 시장으로의 진출이 예상됨.
- IVI 시스템과 RSE시스템에 대한 개발 및 생산 역량을 바탕으로 목적형 이동수단 디스플레이를 적극적으로 개발 중임.
3) 자율주행 수혜주 편입이유
- 스마트카, 자율주행자동차, 커넥티드카 및 스마트카의 필수 장치 HUD(Head Up Display), ADAS 등 개발 및 제조함.
만도
1) 기업개요
- 2014년 한라홀딩스의 자동차 부품 제조ㆍ판매업 부문이 인적 분할되어 설립되었으며, 2014년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주식을 상장함.
- 한라그룹 계열사로 제동, 조향, 현가장치 등을 개발/생산하는 글로벌 자동차 부품 제조 업체임.
- 샤시부품(ABS, ESC, 조향장치 등)과 전자조향장치(EPS), 차선변경 안전시스템(LKAS), 자동주차시스템(SPAS) 등 전장부품을 개발/생산.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적용되는 회생제동시스템 개발 및 정부의 자전거 산업 육성사업 참여를 통해 체인이 없는 페달식 전기자전거를 세계 최초로 개발함.
2) 기업실적
- 2021년 9월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5.7% 증가, 영업이익은 2338.4%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 전환함.
- 각 부문 전반적인 매출 성장을 바탕으로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배가 넘는 비약적인 성과를 이룸.
- 해외 OEM법인의 지속적인 수주를 통하여 유럽시장 매출의 향상과 중국 지리자동차, 인토에서 GM, FORD, Renault, Nissan과 더불어 로컬 브랜드인 TATA 마힌드라의 수주도 강화하고 있음.
3) 자율주행 관련주 편입이유
- 자동차 부품 모듈 업체. 자율주행 및 운전자 안전 관련 첨단 기능인 HDA(고속도로자율주행), AEB(긴급제동), LKAS(차선이탈방지), SPAS(자동주차) 등 개발 및 생산함.
자율주행 관련주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모든 종목은 참고용으로 읽어주시고. 항상 성공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
'국내 주식 > 테마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자리 관련주 6종목|취업 테마주 대장주 (0) | 2022.03.29 |
---|---|
교육 관련주 8종목|온라인 교육주 테마주 (0) | 2022.03.28 |
알루미늄 관련주 8종목|원자재 상승 수혜주 테마주 (0) | 2022.03.28 |
제습기 관련주 7종목|장마 수혜주 테마주 (0) | 2022.03.27 |
태양광 관련주 7종목|탄소중립 수혜주 테마주 (0) | 2022.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