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울시 청년 이사비 신청 총정리
서울시는 이사 물량이 많아지는 시점에 맞게 서울시에 거주하는 청년 5000명에게 이사비용을 최대 40만 원까지 지원합니다. 서울시 청년 이사비 지원대상과 신청방법은 아래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청년 정책 모음
서울시외에도 각 지자체별로 청년 복지 정책에 힘쓰고 있으며, 정부에서 진행하는 복지 혜택도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서울시 청년 이사비 지원
2022년 청년 이사비 지원대상
2022년 1월 1일 이후 서울시 전입 및 서울시 내에서 이사한 만 19세 ~ 39세 청년 가구로 신청 자격을 갖춘 자입니다. 주민등록등본상 부모님과 함께 거주하거나 동거인이 있는 경우도 가능합니다.
청년 이사비 지원금액
서울시 청년 이사비 지원규모는 약 5,000명 이상으로 이사비 최대 40만 원 한도 내 실비로 지원합니다. 생애 1회만 청년 이사비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예 1) 이사비용 30만 원 소요 ▶️ 청년 이사비 30만 원 지원
- 예 2) 이사비용 60만 원 소요 ▶️ 청년 이사비 40만 원 지원
청년 이사비 지급방법
2022년 서울시 청년 이사비는 개인별 계좌로 지급됩니다.
서울시 청년 이사비 신청
청년 이사비 신청기간
2022년 9월 6일 화요일 오전 9시부터 2022년 9월 26일 월요일 저녁 6시까지 신청이 가능합니다.
청년 이사비 신청방법
2022년 서울시 청년 이사비 신청방법은 자격기준을 확인하고 서울 청년포털 청년몽땅정보통 홈페이지에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이사비 지급은 2022년 12월 예정입니다.
신청서류
- 주민등록등본 (최근 2년간 주소 변동 사항 포함)
- 가족관계증명서
- 임대차계약서 사본
- 이사비 지출 증빙서류
- 지방세 세목별 미과제 증명서
- 통장사본
- (선택) 보호아동 종료 확인서
청년 이사비 신청자격
✔️주소
- 2022년 1월 1일 이후 서울시로 전입 및 서울시 내에서 이사 후 신청일 기준 전입신고 완료한 청년 가구
- 주민등록등본상 '함께 거주하는 동거인(부모 등)' 이 있는 경우에도 신청 가능
- 주민등록등본의 세대주 및 임대차계약서의 임차인은 신청자 청년 본인이어야 하며, 임차건물 소재지에 주민등록이 등재되어 있어야 함
- 외국인, 재외국민 등은 지원대상이 아님
- 부모, 형제∙자매, 친구 등 타인의 명의로 임대차 계약을 체결한 경우 신청 불가
✔️재산기준
- 신청자 청년 본인 무주택자
✔️소득기준
- 가구당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
- 신청인이 속한 가구의 건강보험료 고지금액 (’ 22년 8월분)이 ‘22년 건강보험료 소득판정 기준표상 기준 중위소득 120%의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이하여야 함
- 신청인의 건강보험이 피부양자(건강보험 상 부모 등의 세대원으로 등록)인 경우 주민등록이 별도 분리되어 있어도 부양자 고지금액 기준
- 건강보험료 고지금액 조회가 어려운 경우 별도의 소득 증빙자료를 요청할 수 있음
중위소득 100% 중위소득 계산
중위소득 계산 중위소득 100% 라는 말을 제법 듣게 됩니다. 뉴스나 기사를 통해서 특히 많이 보게 되는데요. 중위소득이란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20조 제2항에 따라 중앙생활보장위원회 심의/의
복지소식 알리미
✔️거주기준
- 전월세 : 임차보증금 5천만 원 이하이고 월세 40만 원 이하
- 거주지 : 주택 및 비주택(고시원 등) 모두 가능
- 전세 거주자 중 월세액이 없어도 신청 가능 / 월세 거주자 중 보증금 없어도 신청 가능
- 단, 월세 40만원 초과자 중 보증금의 월세 환산액과 월세액을 합산하여 55만 원 이하인 경우 신청 가능 (‘주택 임대차 보호법’에 의거 전월세 환산율 3.75% 적용)
- 최대 지원 가능 월세액 : 보증금 320만 원 미만이면서 월세 55만 원 (보증금 월세 환산액= 보증금 X 3.75% / 12개월 (천 원 단위 절사) )
청년 이사비 문의
- 서울시 다산콜센터 ☎️ 02-120
- 서울시 청년 이사비 지원사업 운영 콜센터 ☎️ 1877-9358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분기 손실보상 소상공인 신청 대상 및 방법 (0) | 2022.09.08 |
---|---|
경기도 소상공인 재기장려금 300만원 신청 방법 (0) | 2022.09.08 |
공무원 복지카드 복지포인트 사용처 (0) | 2022.09.06 |
공무원 복지포인트 사용처 사용방법 사용기간 총정리 (0) | 2022.09.06 |
건강보험료 조회, 계산, 납부, 산정기준 총정리 (0) | 2022.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