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주식/주식 공부

추세매매 지지선과 저항선 이해하기

반응형

추세매매 지지선과 저항선 이해하기 

 

오늘은 주가의 지지선과 저항선을 알아볼텐데요. 지지선과 저항선은 추세매매의 개념 중 하나로 매매전략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어요. 이동평균선으로도 지지와 저항을 알 수 있지만, 일정 가격대에서도 알 수 있어요. 하나씩 살펴보아요! 

 

목차
1. 추세매매
2. 지지선
3. 저항선
4 지지선과 저항선 활용

 

 

1. 추세매매

 

추세매매란 기술적 분석의 하나로 가격의 추세를 보고 상승과 하락을 도출해 매매하는 방법인데요. 통상적으로 주가는 일정 기간동안은 상승이나 하락, 혹은 횡보로 방향을 이어가요. 이때 그 방향성을 따라 추세 매매가 가능하게 돼요. 추세매매의 장점은 큰 수익률보다 위험성을 피하는데 있다고 해요. 

 

2. 지지선

 

지지선은 주가가 일정 가격대에서 지지를 받고 더 이상 하락하지 않는 것을 말하는데요. 저점과 저점을 이은 선이라고 생각하면 돼요. 차트를 보면서 설명할게요. 

 

이건홀딩스-지지선
이건홀딩스-지지선

 

예) 이건홀딩스는 4500~5000원 사이 가격대를 저점으로 지지를 받고 있어요. 전 저점을 잘 깨지도 않고, 깨더라도 빨리 회복하는 모습을 볼 수 있죠. 이 경우 4500원 이하로 내려가지 않겠다는 의지를 엿볼 수 있는데요. 만약 평소 관심을 가지고 있던 기업이라면 매수 타이밍을 잡을 수도 있어요. 하지만 언제나 주식은 확률 싸움이기 때문에 정답이라고 할 수 없어요. 세력은 예쁜 차트를 만든 뒤 개인이 매수하면 차트가 와르르 무너지는 경우도 많아요. 

 

 

맘스터치-상승지지선
맘스터치-상승지지선

예) 맘스터치의 경우 저점을 계속 높혀가면 전 저점을 깨지 않고 있어요. 이 경우 상승추세선으로 지지선이 형성되었다고 보시면 돼요. 상승추세선의 길이가 길 경우 그 추세가 탄탄하고 주가가 일관되게 움직인다고 볼 수 있어요. 또 급하게 기울기가 높아지면 상승 흐름이 강하다고 볼 수 있어요. 

 

 

3. 저항선

 

저항선은 지지선과 반대로 일정 가격대에 닿기만 하면 하방 압력을 받아 다시 하락하는 것을 말하는데요. 고점을 뚫지 못하거나 전 고점을 뚫지 못하고 내려오는 선을 의미해요. 

 

이건홀딩스-저항선
이건홀딩스-저항선

예) 이건홀딩스는 앞서 지지선에서 본 것처럼 5000원 부근에서 지지를 형성하고 있지만, 7000원 선에서 저항대도 형성하고 있는데요. 7000원을 찍거나 돌파해도 다시 내려오는 모습을 보여요. 지지와 저향이 반복되면 박스권이 형성됐다고 말해요. 

반응형

오스템-하락저항선
오스템-하락저항선

예) 오스템은 전 고점을 뚫지 못하고 하락추세선을 그리고 있는데요. 이 경우 저점이 더 내려가지 않는게 중요할텐데, 오스템은 계속 저점도 내려오고 있네요. 일시적으로는 상승하기 어렵다고 판단할 수 있어요. 

 

 

4. 지지선과 저항선 활용

 

지지선과 저항선을 활용하여 매매전략을 짤 수 있는데요. 가장 쉽게는 지지선에서 매수하여 저항선에 매도하는 방법입니다. 이론상으로는 가장 쉽지만, 실질적으로 매매를 하면 사람이 욕심이 생겨서 저항선에 왔을때 마치 뚫고 올라갈 것 같은 환상에 매도하지 않고 견디다가 다시 지지선에 내려와 허무한 경우가 많은데요. 참 주식은 맘대로 되지 않는 매력이 있는 것 같아요. 정말 기계적으로 매매를 할 수 있는 분이라면, 지지선 매수/ 저항선 매도 전략을 가져가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두번째는 지지와 저항을 반복해 박스권을 형성한 차트에서 저항선을 시원하게 뚫는 모습이 나온다면, 추후 관심있게 볼 필요가 있어요. 저항선을 돌파 후 그 저항선이 지지선으로 바뀐다면 상승의지가 있다고 볼 수 있어요. 하지만 반대로 지지선을 뚫고 하방으로 내려가 지지선이 저항선으로 바뀐다면 하락의지가 있다고 볼 수 있어요. 

 

마지막으로 지지선과 저항선은 차트를 볼때 기본적 개념으로 자리잡고 있으면 유용해요. 주가의 흐름을 한눈에 파악하기도 편하고 매수가나 매도가를 정하기에도 편리합니다. 하지만 앞서 말씀드렸듯이 정답은 아니기 때문에 보조 지표 개념으로 기업분석과 더불어 이해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2021.12.04 - [주식정보] - 주식 양봉과 음봉 알아보기(+ 시가,고가,저가,종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