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보상배율 확인하고 부실기업 좀비기업 피하자(ft. 주식공부)
금리인상으로 중소기업 대출금리 오름세로 이자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뉴스가 자주 나와요. 코로나로 인해 기업대출도 많이 늘어난 시점에 주식을 할 때 이자보상배율을 확인하고 투자하는 게 좋겠다는 생각을 하는데요. 오늘은 이자보상배율과 부실기업, 좀비기업을 알아보아요.
< 목차 >
1. 이자보상배율
2. 부실기업, 좀비기업 피하기
1. 이자보상배율(이자보상비율)
이자보상배율은 기업의 채무상환 능력을 알 수 있는 지표로 수입에서 얼마를 이자비용으로 쓰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수치를 말해요. 기업이 부채에 대한 이자를 지급할 수 있는 능력을 판단하기 위해서 이자보상배율을 산출해요. 계산방법은 간단하게 영업이익 ÷ 이자비용인데요. 이자보상배율이 1이면 영업활동으로 번 돈을 이자로 내고 나면 남은 돈이 없다는 것을 의미해요. 1보다 크면 영업활동으로 이자를 지불하고도 남는다는 것을 말하고, 1 미만이면 영업으로 번 본으로 이자조차 낼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해요.
이자보상배율 | |
이자보상배율 < 1 |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 조차 상환하지 못하고 있음 |
이자보상배율 = 1 | 영업이익과 이자비용이 동일함. 이자를 내고 나면 남는 이익이 없음 |
이자보상배율 < 1 |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상환하고도 이익이 남음 |
표 상황에 맞는 기업들을 하나씩 살펴볼게요.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이었던 적이 있는 A기업은 2019년과 2020년에 영업이익이 이자비용보다 훨씬 작았던 걸 확인할 수 있어요. 이때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0.3으로 나타나요. 2017년과 2018년은 영업이익이 마이너스라 표시가 되지 않은 것 같네요. 현재 2021년은 다행히 영업이익이 이자보상보다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두 번째, 이자보상배율이 1에 가깝게 있는 B기업인데요. 2020년 영업이익과 이자비용이 거의 비슷하네요. 이때 이자보상배율이 1.1였다가 2021년 영업이익 확 늘어나면서 이자보상배율도 올라갔네요.
마지막 C기업은 이자보상배율이 매우 안정적으로 늘어나는 기업인데요. 2017년 이자보상배율이 22.3이었는데 꾸준히 영업이익 성장과 이자비용을 줄이면서 2021년에는 515.2로 크게 늘어났네요.
세 기업 모두 이자보상배율이 1 이상으로 늘어났지만, 마음 편하게 안정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기업은 C기업이 좋겠네요.
2. 부실기업 좀비기업 피하기
팬데믹으로 대면에서 비대면으로 생활이 바뀌면서 분명히 이득을 챙긴 기업도 많지만, 그에 반해 손실을 본 기업들도 꽤 있을 텐데요. 한 기사에 따르면 2019년에는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이었던 적이 없다가 지난해와 2021년 1분기 중 한 번이라도 이자보상배율 1 미만으로 기록한 기업이 늘어났다고 해요. (코스닥 기준)
이 기업들을 부실기업이라고 칭하고,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기업을 좀비기업이라고 불러요. 좀비기업은 3년 연속 이자조차 갚지 못하는 상황이라 회생 가능성이 낮지만 정부나 채권단의 지원으로 간신히 파산을 면하고 있는 기업이지요.
부실기업 | 한번이라도 이자보상배율이 1미만을 기록한 기업 |
좀비기업 |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이 1미만을 기록한 기업 |
건전한 기업과 좀비 기업을 나누는 기준은 부채를 갚을 수 있는지가 핵심이 돼요. 그렇기 때문에 이자보상배율을 확인하여 좀비 기업을 걸러내고, 건전한 기업에 투자하여 나의 자산을 안정적으로 키워나가면 좋을 것 같아요.
↓↓↓ 같이 보면 주식공부에 도움 되는 포스팅 ↓↓↓
상장폐지와 관리종목 (지정사유와 관리종목 확인하는 방법)
주식을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시점에 상장폐지라는 최악을 경험한 적이 있는데요. 그때는 장밋빛 환상에 젖어 매수하는 종목마다 무조건 주가가 오를 거라고 생각했는데요. 지금 생각해보
mindmoment.tistory.com
금리가 오르면 주가는 내릴까? (금리와 주가의 상관관계)
금리가 오르면 주가는 내릴까? (금리와 주가의 상관관계) 금리와 주가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을까요? 연일 기사에서 인플레이션 우려로 금리인상이 이뤄져야 된다고 보도하는데요. 그로 인
mindmoment.tistory.com
'국내 주식 > 주식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세매매 지지선과 저항선 이해하기 (0) | 2022.01.06 |
---|---|
코스피200 코스닥150 정기변경 편입/편출종목(카카오페이 특례편입) (0) | 2021.12.09 |
금리가 오르면 주가는 내릴까? (금리와 주가의 상관관계) (2) | 2021.12.07 |
주식 반대매매와 신용잔고 확인하고 매수하자 (ft. 증거금률 설정법) (1) | 2021.12.06 |
상장폐지와 관리종목 (지정사유와 관리종목 확인하는 방법) (0) | 2021.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