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양봉과 음봉 알아보기(+ 시가, 고가, 저가, 종가)
처음 주식차트를 보면 빨간색과 파란색의 막대기가 연속적으로 있는데, 이 막대기가 의미하는 바를 잘 몰라서 어려웠어요. 막대기를 봉이라고 말하고, 빨간색은 양봉, 파란색은 음봉이라고 말하는데요. 오늘은 시가, 고가, 저가, 종가를 이해한 후 양봉과 음봉의 의미를 알아보아요!
< 목차 >
1. 시가, 고가, 저가, 종가
2. 주식 양봉
3. 주식 음봉
4. 주식 차트
1. 시가, 고가, 저가, 종가
주식의 양봉과 음봉을 이해하기 위해서 먼저 시가, 고가, 저가, 종가의 개념을 이해해야돼요. 하나씩 살펴볼게요. 시가는 당일 시작된 주가의 가격을 말하고, 저가는 당일 형성된 가장 낮은 가격, 고가는 당일 형성된 가장 높은 가격을 말해요. 마지막 종가는 당일 마감된 주가의 가격을 말합니다. 예로 삼성전자의 시가, 고가, 저가, 종가를 알아볼까요~
12월 3일에 마감된 삼성전자의 시가는 75,600원, 저가는 74,100원, 고가는 76,000원, 종가는 75,600원 이네요. 다음 증권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는데요. 또 HTS나 MTS에 있는 현재가 창에서도 쉽게 확인 가능해요.
저는 키움증권 영웅문을 사용 중이라 키움증권 현재가에서 확인해봤는데요. 움직이는 호가 오른쪽 편에 나란히 시가,고가,저가를 확인할 수 있어요.
2. 주식 양봉
시가,고가,저가,고가를 이해했다면 이제 주식의 양봉과 음봉을 이해하기 훨씬 수월한데요. 봉은 막대기처럼 생겼고 빨간 막대기를 양봉, 파란 막대기를 음봉이라고 불러요. 봉의 몸통은 시가와 종가, 봉의꼬리는 저가와 종가로 보통 나타나요.
빨간 막대기인 양봉은 당일 시가보다 높게 종가가 마감된 걸 말하고요. 상승을 의미하기 때문에 매도세보다 매수세가 강했다고 보시면 돼요. 양봉의 형태는 크게 4가지로 나눠볼 수 있는데요.
사진과 함께 설명을 봐주세요. A는 윗꼬리와 아랫꼬리없이 장 시작 가격인 시가에서부터 상승해 고가가 형성됐는데 고가에서 하락 없이 마감해 고가가 종가와 동일한 형태예요. B는 장 시작 가격인 시가에서 하락해 당일 제일 낮은 가격인 저가를 형성하고 다시 시가를 돌파해서 장 중 가장 높은 가격 고가를 형성하고 그 고가로 장 종료가 되어 종가가 된 양봉으로 아랫꼬리를 만든 형태예요. C는 장 시작 가격인 시가에서 장 중 가장 높은 가격인 고가까지 갔다가 고가를 이탈하고 하락해 시가보다는 높게 종가가 마감해 윗꼬리를 만든 양봉이에요. 마지막으로 D는 장 시작 가격인 시가에서 하락해 장 중 가장 낮은 가격 저가를 형성 후 다시 시가를 돌파해 고가를 만들고 고가에서 하락 후 윗꼬리를 만들고 종가로 마무리된 양봉을 말해요. 마지막 D의 양봉은 윗꼬리와 아랫꼬리를 다 만든 형태예요.
3. 주식 음봉
음봉은 파란막대기로 시가보다 종가가 낮게 끝난 봉을 말해요. 양봉과 반대로 매수세보다 매도세가 강해 하락으로 마감된 봉의 형태랍니다. 음봉도 크게 네 가지로 나뉠 수 있는데요.
주식 음봉 형태의 A는 장 시작 가격인 시가에서 장 중 하락하여 가장 낮은 가격인 저가를 만들고 더 이상 반등하지 못하고 장 마감하여 저가와 종가가 동일한 음봉이에요. 윗꼬리와 아랫꼬리가 없이 몸통만 있어요. B는 장 시작 가격인 시가에서 계속 하락하여 장 중 가장 낮은 가격인 저가를 형성 후 약간의 반등으로 시가보다는 낮게 종가로 마무리된 형태로 아랫꼬리가 달린 음봉이에요. C는 시가에서 장 중 상승하여 가장 높은 가격인 고가를 만들었지만, 계속 하락하여 시가도 깨지면서 윗꼬리를 만들고 끝난 음봉을 말해요. 마지막 D는 윗꼬리와 아랫꼬리가 모두 달린 형태로 장 시작 가격인 시가에서 상승해 고가를 만들었으나 다시 시가를 깨고 내려와 장 중 가장 낮은 가격인 저가를 만들고 살짝 반등해 종가로 끝난 음봉입니다.
4. 주식 차트
양봉과 음봉이 연속적으로 나타낸 것을 봉차트라고 말해요. 흔이 주식 차트라고 불리죠. 차트는 기간에 따라 일봉 차트, 주봉 차트, 월봉차트, 년차트가 있어요. 일봉은 하루의 움직임을 나타낸 것을 말하고, 주봉은 일주일간의 봉, 월봉은 한 달간의 봉 그리고 연봉은 1년간의 봉을 말해요.
보통 일봉차트를 기준으로 참고하지만, 매매법에 따라 주봉, 월봉 또는 분봉 차트를 이용해서 매매 수익을 챙겨요.
아! 분봉차트는 1분, 5분, 10분, 15분 이렇게 분단위 나타낸 차트를 말해요. (틱도 있음)
주식 차트 역시 HTS와 MTS를 통해서 쉽게 확인할 수 있는데요. 키움증권 영웅문 기준으로 보면 차트 상단에 일/주/월/년 등으로 표기가 되어있어요. 원하는 걸로 클릭하여 보시면 돼요.
주식기초 공부에 조금이나마 도움되셨길 바라며,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국내 주식 > 주식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반대매매와 신용잔고 확인하고 매수하자 (ft. 증거금률 설정법) (1) | 2021.12.06 |
---|---|
상장폐지와 관리종목 (지정사유와 관리종목 확인하는 방법) (0) | 2021.12.05 |
보통주와 우선주 차이점을 알아보자 (feat. 주식기초) (0) | 2021.12.03 |
유상증자는 악재? 무상증자는 호재? (유상증자와 무상증자 이해하기) (0) | 2021.12.02 |
국내주식 상하한가제도와 미국주식 상하한가제도 (0) | 2021.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