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주식/주식 공부

공모주 청약하는 방법

반응형

공모주 청약하는 방법 

 

 

공모주 청약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공모란 해당 기업의 주식을 공개모집하는 것을 말하며, 공개모집하는 기업의 주식을 사는 것을 공모주 청약이라고 말합니다. 이제는 공모주 청약이 재테크로 자리 잡았는데요. 기관경쟁률 등을 따져 공모주 청약을 한다면 높은 확률로 수익을 볼 수 있다고 해요. 그럼 공모주 청약하는 방법에 대해 하나씩 설명할게요.  

반응형

공모주-청약방법-썸네일

<공모주 청약하는 방법> 

STEP 1. 공모주 청약 일정 확인하기

STEP 2. 주간사(증권사) 계좌 개설하기
STEP 3. 증거금 입금하기
STEP 4. 청약일에 청약하기
STEP 5. 배정 및 환불 
STEP 6. 상장 

 

 

 

 STEP 1. 공모주 청약 일정 확인하기 

 

평소 관심있던 기업이나 기업 가치 등 성장성이 있는 기업이 IPO 등을 통해 공모를 한다면, 공모주 일정을 먼저 확인하셔야 돼요. 공모주 청약 일정을 확인하는 방법은 간단한데요. 아이피오스탁을 통해서 매월 공모주 일정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요. 청약을 위해서 청약일, 환불일, 상장일, 주간사 등을 같이 확인하시면 돼요. 

 

 

공모주 일정 확인하기

 

 

 

TIP. 수요예측일 끝나고 수요예측 결과에서 공모주의 기관경쟁률과 확약비율을 확인해주세요. 기관경쟁률은 말 그대로 기관끼리 경쟁이 높아서 인기가 많았다는 것을 의미하고, 확약비율은 일정기간 동안 의무적으로 주식을 보유하겠다는 기관투자자의 비율을 말해요. 기관경쟁률과 확약비율이 높다면 수익을 안겨줄 확률이 높다고 볼 수 있어요.

 

 

공모주-기관경쟁률
공모주-기관경쟁률

 

LG에너지 설루션은 기관경쟁률이 2023:1로 엄청난 인기를 보였고, 확약비율도 다른 기업이 비해 확실히 높은 것을 알 수 있어요. 이 경우 공모가보다 상장일에 높은 가격에 매도할 수 있는 확률이 높아져요. 

 

 

 

 STEP 2. 주간사(증권사) 계좌 개설하기

 

청약할 공모주 일정을 확인했다면, 공모주 주간사(증권사)도 꼭 확인하셔야 되는데요. 이는 공모주마다 주간사(증권사)가 달라지고 해당 증권사에 계좌가 없다면 청약이 불가능해요. 그렇기에 청약할 공모주 주간사(증권사)의 증권 계좌 개설을 미리 해두세요. 

 

공모주-주간사
공모주-주간사

 

만약 키움증권만 사용하는 일반투자자가 미래에셋 주간사인 공모주 청약을 한다면, 미리 미래에셋 증권 계좌를 개설하시면 돼요. 주간사는 규모에 따라 1곳 혹은 1곳 이상일 수 있는데요. 주간사 중 우대 고객이 될 수 있는 증권사가 있다면 그곳에서 청약을 하는게 가장 유리하지만, 보통은 일반 고객이니 배정물량이 많은 증권사(주간사)가 유리할 수 있어요. 

 

 

 

 

 STEP 3. 증거금 입금하기

 

증거금은 청약을 하겠다는 것을 증거로 하는 금액을 말해요. 청약 금액의 50%만 증거금으로 내면 되고, 일반적으로 최소 수량은 10주입니다.

 

증거금 계산방법 공모주 수량 × 확정공모가 × 50%

 

 

얼마 전 뜨거운 관심을 받았던 LG에너지솔루션을 예로 든다면, LG에너지솔루션의 확정공모가는 30만 원이고, 최소 수량은 10주이니 300만 원에서 50%를 곱하면 150만 원의 증거금이 필요해요. (10주 × 300,000 × 50% = 1,500,000원)

 

 

 

 STEP 4. 청약일에 청약하기

 

해당 주간사 MTS, HTS 등을 통해 청약일에 청약 신청을 하시면 되는데요. 이때 10주를 받고 싶다고 청약을 해도 경쟁률에 따라 1주 혹은 아예 1주도 못 받을 수 있어요. 그래서 보통 청약일 둘째 날에 다들 눈치 보면서 실시간 경쟁률을 확인하고 증거금을 정한다고 해요. 

 

공모주-경쟁률예시

 

청약은 증권사(주간사)를 달리해도 1인 1번만 가능한데요. 만약 첫날 A증권사를 통해 청약 신청을 했는데, 실시간 경쟁률이 쎄다면 취소 후 둘째 날 B증권사를 통해 다시 신청하셔도 돼요. 

 

 

 

 STEP 5. 배정 및 환불 

 

우선 배정방식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균등배정과 비례 배정이 있어요. 균등 배정은 청약한 모든 투자자들에게 균등하게 배정하는 방식을 말해요. 최소 수량인 10주만 청약을 해도 배정을 받을 수 있지만, 경쟁률이 높다면 1주도 받지 못할 수 있어요. 그래서 주간사(증권사)가 1곳 이상인 경우 물량은 많지만 청약건수가 적은 곳으로 신청하는 게 유리해요. 

 

두 번째는 비례 배정은 입금한 증거금에 비례해서 나눠주는 방식을 말하는데요. 증거금을 더 많이 낸 사람에게 배정을 더 많이 해줘요. 비례 배정도 경쟁률을 잘 따져봐야 되는데요. 경쟁률이 1000대 1인데 500주를 청약했다면 1주도 받지 못하게 돼요. 두 가지 배정방식 중 일반투자자가 선택해서 할 수는 없으며, 일단 최소 10주 이상 청약을 한 사람은 균등배정 청약자가 되고, 10주 이상 청약을 했다면 경쟁률에 따라서 비례 배정을 받을 수 있어요. 균등배정과 비례 배정의 방식은 공모주마다 다르니 미리 확인하시는 게 좋아요. 

 

 

공모주 청약 후 2일 이내에 배정 결과를 알려줘요. 1주 이상 배정을 받았다면 배정받은 주수의 금액을 제외하고 환불이 돼요. 즉, LG에너지솔루션 청약으로 1주(30만 원)를 배정받았고, 150만 원의 증거금을 넣었다면 120만 원이 환불돼요.

만약 배정을 아예 받지 못했다면, 전액 그대로 환불이 됩니다. 환불은 마지막 청약일로부터 이틀 뒤에 돼요.(영업일 기준) 

 

 

 

 STEP 6. 상장 

 

드디어 공모주가 상장이 되고, 인기 있는 종목들은 따상 등 힘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데요. 매도 혹은 보유 중 본인이 원하는 투자스타일대로 진행하시면 되세요! 

 

 

 

연관 포스팅

- 2022년 1월 IPO 일정 / 상장일과 청약일

- IPO 뜻과 절차 알아보기 ( +IPO 공모 일정 확인하는 방법)

 

 

 

이상 공모주 청약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공모주 청약 신청하는 방법은 간단하지만, 경쟁률에 따라 증거금을 계산하는 게 조금은 번거로울 수 있겠다는 생각도 드네요. 경쟁률이 높은 만큼 투자 수익도 높으니 기관경쟁률과 실시간 경쟁률을 잘 따져보는 습관을 가지는 게 좋겠어요. 공모주 청약하는 방법을 익혀서 공모주로 수익 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