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주식/주식 공부

기관 투자자와 외국인 투자자의 종류와 성향 알아보기 (+ 키움증권 투자자별 매매동향 확인 방법)

반응형

기관 투자자와 외국인 투자자의 종류와 성향 알아보기

 

 

한국 증시는 뉴욕증시와 너무 다르게 움직이다가 최근 상승을 보여주고 있어요. 코스닥은 상승 추세를 만드는 모습이지만, 코스피는 기술적 반등일 확률이 높다는 의견이 많은 것 같아요. 뉴욕증시와 너무 다른 모습에 이탈하는 개인투자자가 많다고 해요. 결국 증시를 올리는 건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들에게 달렸다고 볼 수 있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의 종류와 성향에 대해서 알아보고, 키움증권에서 투자자별 매매동향을 확인하는 방법을 살펴보아요. 

 

 

 

< 목차 >

1. 기관 투자자의 종류와 내용
2. 외국인 투자자의 종류와 내용
3. 키움증권에서 투자자별 매매동향 보는 방법 (PC/모바일 버전)

 


 

1. 기관 투자자의 종류와 내용

 

 

먼저 기관 투자자는 주식, 채권 등을 투자하는 일을 주 업무로 하는 투자기관을 말해요. 종류로는 금융투자, 투자신탁, 사모펀드, 은행, 보험, 연기금, 국가 등이 있어요. 하나씩 자세히 더 알아볼까요. 

 

금융투자는 자산운용사나 증권사가 회사의 자산으로 투자를 하는 경우를 말해요. 투자신탁은 동일한 자산운용사와 증권사가 회사 자산이 아닌 고객의 자산을 대신 투자하는 경우라고 볼 수 있어요. 그리고 사모펀드는 최소 투자금액이 설정되어 있고, 대부분 높은 투자금액으로 소수 인원을 모아서 투자하는 곳이랍니다. 

 

은행과 보험은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일반 은행과 보험회사를 말하며, 기타 금융은 금융투자, 은행, 보험에 포함되지 않는 상호저축은행 같은 곳을 말해요. 그리고 연기금은 매달 내고 있는 4대 보험 중 국민연금 혹은 군인연금, 공무원연금 등을 관리하는 기관으로 국민의 복지를 위해 일부를 투자하고 있어요. 마지막으로 국가는 우정사업본부(우체국), 예금보험공사와 같은 국가 기관을 칭합니다. 

 

 

기관 투자자 종류와 내용
종류 내용
금융투자 증권사,자산운용사,종금사, 선물회사 등 자기 자본으로 투자
투자신탁(투신) 금융투자와 동일한 기관이 고객의 자산으로 투자, 주로 펀드 운용
사모펀드 투자신탁에 비해 최소 금액 단위가 높고, 소수의 투자자를 관리
은행 은행법으로 설립된 우리,국민은행 등을 말하고, 고객의 예금으로 투자
보험 보험법으로 설립된 보험회사가 은행과 동일하게 고객의 보험금으로 투자
연기금 국민연금, 사학연금, 군인연금, 공무원연금 등으로 투자
국가 우정사업본부(우체국), 예금보험공사, 주택금융공사 등 국가 공기관
기타금융 위에 포함되지 않는 상호저축은행 같은 기관 

 

 

기관 투자자 중 자산규모가 가장 큰 기관은 연기금이라고 해요. 대부분의 국민들이 국민연금을 내고 있으니 당연히 그럴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팬데믹 이후 주식시장의 상승세가 지속된 가운데 연기금이 순매도액과 한국 주식 투자 비중이 줄어들어 국민들의 질타를 받기도 했는데요. 현재 미국 주식의 가파른 상승세를 보면 결론적으로 잘 운용하고 있다는 생각도 드네요. 

 

 


2. 외국인 투자자의 종류와 내용

 

 

한국증시는 외국인 투자자 수급에 따라 증시 분위기가 많이 달라져요. 그렇기 때문에 외국인 투자자의 종류와 성향에 대해서 미리 익혀두면 좋을 것 같아요. 외국인 투자자의 비중은 한국주식 시가총액 기준 약 30% 정도 된다고 해요.

 

외국인 투자자는 크게 외국계 투자은행, 뮤추얼 펀드, 외국계 연기금, 해지펀드로 나뉠 수 있어요. 외국계 투자은행은 한국 기관 투자자와 비슷한 외국계 기관투자자를 뜻하며, 투자 기간은 짧게는 5년, 길게는 10년 정도를 보고 투자해요.

 

뮤추얼펀드는 다수의 일반 투자자가 자금을 모아서 큰 자금을 형성하여 뮤추얼펀드로 자본금을 납입하면 뮤추얼펀드는 실적 배당형으로 투자를 해요. 국민연금을 관리하는 연기금처럼 외국계 연기금도 외국인 투자자인데요. 외국계 연기금은 10년 이상 장기 투자 성향이 강해요. 그리고 마지막 헤지펀드는 단기 수익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투기성 강한 자금이라고 보면 돼요. 

 

 

 

외국인 투자자 종류와 내용
외국계 투자은행 외국계 기관투자자로 짧게는 5년 길게는 10년 정도로 투자
뮤추얼 펀드 다수의 투자자로 모금한 실적 배당형 투자, 투자 목적 법인 형태 회사
외국계 연기금 국내와 같은 연기금 형태, 10년 이상 장기투자 성향 강함
헤지펀드 단기 수익을 목적으로 투기성이 강한 자금 

 

 

외국인 투자자의 성향은 일단 장기 투자 개념이 짙지만, 환율에 따라 투자 동향이 바뀌어요. 최근 환율이 강세를 보이자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 투자자의 매도가 급격하게 늘어났죠. 자금 규모가 크기 때문에 환차익, 환차손에 민감하게 반응해요. 두 번째는 글로벌 자금을 운용하는 외국계 기관들이 투자하기 때문에 안전하고 검증된 대형주의 선호도가 높아요. 

시가총액 상위 종목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NAVER, 카카오 등이 외국인 비중이 그래서 높은 편에 속해요. 

 

 

기관투자자와 외국인 투자자로 포함되지 않는 기타법인과 내외국인이 있어요. 기타 법인은 기관 투자자로 분류되지 않는 법인을 칭해요. 예를 들자면, 삼성전자가 특정 기업의 주식을 투자하는 경우를 말할 수 있어요. 

그리고 내외국인은 국내에 6개월 이상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이 투자하는 경우이며, 대부분 개인투자자로 볼 수 있어요.

 

 


3. 키움증권에서 투자자별 매매동향 보는 방법

 

 

주식 투자를 하고 계시다면, 기관과 외국인 투자자의 매매동향을 매일 체크하실텐데요. 저는 키움증권을 사용하고 있어서 키움증권에서 투자자별 매매동향을 확인하는 법을 알려드릴게요. 

 

영웅문(PC버전)에서 왼쪽 맨위에 검색란이 있어요. 거기에 '투자자별 매매동향'이라고 검색하거나  '0784'를 입력해도 나와요. 그럼 아래와 같은 창이 뜨고 코스피와 코스닥의 개인, 외국인, 기관계 수급을 금액, 수량으로 볼 수 있어요. 

 

 

출처 키움중권 영웅문

 

 

영웅문 S(모바일 버전)으로는 하단 왼쪽 모서리 쪽에 메뉴를 눌러서 약간 내리면 투자자별로 분류되어 매매 종합이라고 적힌 글이 보여요. 거기서 오늘의 투자자별 매매 종합을 살펴보시면 돼요. 

 

키움증권 영웅문S 매매동향 보는 방법

 

 

국내 증시의 외국인 투자자와 기관 투자자를 이해하고, 투자자별 매매동향을 활용할 수 있는 시간이 되셨길 바라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