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O 뜻과 절차 알아보기 ( +IPO 공모 일정 확인하는 방법)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지금처럼 IPO 열풍이 불지 않았는데요. 많은 사람들이 재테크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면서 IPO 공모가 뜨거워졌어요. 또 팬데믹 이후 상승장에서 기업공개로 상장 첫날 상한가를 가는 등 무서운 급등을 보여줘서 IPO 공모주 외에도 대금이 엄청 몰리곤 했어요. 지금 다소 가라앉은 분위기지만, 2022년 대형 공모주들이 기다리고 있어서 또 어떨지 모르겠네요. 그럼 오늘은 IPO 뜻과 절차 그리고 IPO 공모 일정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볼게요.
< 목차 >
1. IPO 뜻
2. IPO 절차
3. IPO 공모 일정 확인하는 방법
1. IPO 뜻
증권시장에서 어떤 기업의 주식이 공식적으로 거래되기 위해선 먼저 상장을 해야 돼요. 주식을 상장하는 방법 중에 가장 많이 하는 방법이 IPO인데요. IPO는 `Initial Public Offering`의 약자로 기업공개와 같다고 보면 돼요.
즉, 기업 공개는 기업이 자사의 주식과 경영 내역, 회계 등을 외부 투자자에게 공개하여 기업의 주식을 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랍니다.
그렇다면 기업은 왜 경영내역 등을 공개하여 IPO를 하는 걸까요? 이유는 다양한데요. 가장 많이 하는 이유 중에는 대규모 자금 조달이 가능해요. 보통 기업이 자금을 조달할때 은행 대출을 받거나 채권을 발행해야 되지만, 이런 경우는 원금과 이자를 갚아야 되는 부담이 있어요. 하지만 기업공개(IPO)를 통해 외부 투자자에게 자신의 주식과 현물을 맞바꾸는 식으로 하는 거죠. 이렇게 되면 원금과 이자를 갚아야 되는 부담감 없이 대규모 자금 조달이 가능하게 돼요.
두 번째로는 기업 홍보 효과를 볼 수가 있는데요. 증권시장에 상장은 엄격한 상장 심사를 거쳐야 되기 때문에 상장된 기업은 신뢰가 높아지게 돼요. 그럼 기업의 평판도 올라가게 되고 기업의 가치가 상승할 수 있어요.
일반 투자자들 입장에서도 좋은 점이 있어요. 평소 관심이 많았고 자주 구매했던 기업이라면 성장성에 투자하고 싶은 마음이 들잖아요. 그런 기업이 상장되면 어렵지 않게 기업 분석이 가능하고 주주가 될 수 있어요.
반대로 공개 시 단점도 존재하는데요. 대주주가 일정 지분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경영권을 위협받을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일정 지분을 유지해야 돼요.
2. IPO 절차
IPO 절차는 크게 사전준비, 상장 예비심사, 공모 그리고 상장 및 매매로 이뤄져 있어요. 단계별로 하나씩 살펴볼게요. 사전 준비는 기업공개 및 상장의 목적과 자본 조달 규모 및 시설투자 계획을 해요. 또한 동종업계의 증시 동향과 항후 전망을 파악하고, 기업공개와 상장으로 얻는 손익을 따져보는 시간을 가지게 돼요.
그리고 두번째, 상장 예비심사가 들어가요. 신규상장요건을 가진 기업은 상장 신청을 할 수 있는데요. 이때 재무제표 및 감사인의 감사보고서 등 회계처리기준이 위반한 사실이 없어야 되고, 있을 시 기각 결정돼요. 상장 예비심사를 통해 상장이 가능하다는 결과 통지를 받게 되면 세 번째 공모가 이뤄져요. 상장 예비심사결과 사본 등을 첨부하여 증권신고서를 금융위원회에 제출 후 투자 설명을 하고 수요예측 및 공모 가격이 결정돼요. 그러면 우리가 청약을 하고 주식수를 배정받게 돼요. 드디어 실질적으로 코스피나 코스닥에 기업이 상장되고 공모가 아닌 일반 매매가 실시된답니다.
3. IPO 공모 일정 확인하는 방법
IPO 공모 일정은 '아이피오스탁' 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어요. 월별 달력으로 되어 있고 수요예측일, 청약일, 환불일, 상장일 등을 체크해서 원하는 대로 확인이 가능해요.
http://www.ipostock.co.kr/main/main.asp
아이피오스탁(IPOSTOCK)-IPO공모주,K-OTC 장외시장
www.ipostock.co.kr
곧 다가오는 12월 IPO 공모일정을 간단하게 확인해볼까요. 년/월이 표시되어 있는 아래에 상장일만 체크하면 기업이 몇 개 없는 것 같아요. 연말이라 IPO 하는 기업이 좀 작은 가봐요.
IPO가 궁금하셨거나 주식기초 공부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국내 주식 > 주식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스피와 코스닥 차이점 (Feat.시가총액 상위 변화) (0) | 2021.11.29 |
---|---|
코스피200과 코스닥150 알아보기 (+ 대표 ETF) (0) | 2021.11.28 |
증권사 리포트 읽는 방법과 무료사이트 (feat. 시장침투율) (0) | 2021.11.27 |
기관 투자자와 외국인 투자자의 종류와 성향 알아보기 (+ 키움증권 투자자별 매매동향 확인 방법) (0) | 2021.11.24 |
MSCI 지수 이해와 중요한 이유 (0) | 2021.11.17 |